대한민국 원자력발전의 효시라 불리는 고리원전1호기가 그 생을 마감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전력사정을 개선하는데 그케 기여하고 산업발전의 원동력인 에너지를 원할하게 공급하던 역사적인 발전소이다.
부산 사람들은 일부 기억하는분도 있겠지만 부산항 1부두에 미국의 발전선(함)이라는 큰 배가 정박해서 부산에 전기를 공급해 주던때도 있었다.
우리가 에너지를 완전히 자급해서 전기다리미도 제도로 쓰지 못하던 시대를 탈피한것이 그리 오래전의 일이 아니라는것을 다시 생각케한다.
이제 국내에서 첫 원자력발전소로 등장했던 고리1호기가 심장을 멈추고 역사속으로 사라질 날이 2017년 6월 19일 0시로 다가온다.
그곳을 찾아가 본 사람은 알겠지만 거대한 원통형의 건물이 있는데 맨 오른쪽 원통형 건물이1978년 4월 29일 우리나라 최초로 상업운전을 시작했던 고리 원전 1호기이다.
우리나라 산업화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는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동안 무려 40년간 꾸준히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고 이제 더 노후화되기전에 심장을 멈추게 하는것이다.
SONY | DSLR-A300고리 원자력발전소
SONY | DSLR-A300고리 원자력발전소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지난 9일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를 영구 정지하기로 확정한데 다르는것이다.
이제 또다른 산업 원전해체기술을 빨리 습득해서 추후 세계적으로 탈원전붐이 일어 난다면 그 시장을 선점할 준비를 해야한다.
특히 고리 1호기가 영구 정지된 이후에도 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서 잘 관리되어야 할 것이며 완벽한 제거작업이 될수 있기를 바란다.
1978년 4월 29일 상업운전을 개시한 이후 1호기는 19일 0시를 기준으로 가동을 멈추는 동안 2007년 30년의 설계 수명을 만료한 후 한 차례 10년의 수명 연장을 통해서 총 40년간 운전된것이다.
고리 1호기의 총 발전량은 지난해 기준 477만 ㎿h이며 지금까지 누적 발전량은 1억 5358만 ㎿h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원전 전체로 대비 2.9%이며 전체 전력 발전량 대비 0.9% 수준으로서 현재 우리나라 발전설비 상태를 볼때 가동을 중단 한다고 해서 전력 수급에 별로 차질이 생기지는 않을것으로 본다.
현재 우리나라는 원전이 차지하는 발전량이 30.6% 1억 6200만 ㎿h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원전비중이 높은나라이며 그래서 최초의 폐로수순에 들어가는 원전1호기가 주는 의미가 크다고 본다.
이제 탈 원전으로 간다면 고리 1호기의 폐로는 그 신호탄이 될 것이다.
아직은 에너지 수급 차원에서 원전이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대체에너지의 안정적인 구상을 해야할 시기인것은 사실이다.
이제 폐로 이후에 이곳이 얼마나 좋은 공부가 되는 장소로 활용되는지에 대해 깊이 고민할때가 온것이다.
SONY | DSLR-A300고리 원전 1호기 가압경수로
SONY | DSLR-A300고리 원전 1호기 연료봉
원전연료봉과 경수로의 냉각화를 진행할것이다.
모든시설은 그 수명이 있고 수명이 다한 시설은 더큰 문제가 발생하기전에 안전하게 폐기하는것은 당연한것이며 이미 수명을 지나서 1차연장을 경험한 시설이기 때문에 폐로수순은 적절한 시기라고 본다.
물론 지금의 기술로서 더 보수해서 얼마간 더 연장 운전도 가능하지만 전력 확보에 여유가 있을때 가동을 중단하는 것이 다행이라고 본다.
'과학/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계의행성(行星 Planet)들과 그 순서 (0) | 2018.08.09 |
---|---|
아날로그적 감성은 간직하자. (0) | 2018.02.28 |
상식적인 방사선의 개념 및 특성 (0) | 2017.07.29 |
고리원전1호기 폐로 수순 (0) | 2017.06.10 |
생활환경에 미치는 라돈(Radon) (0) | 2017.01.11 |
진공관 시그널 제네레이터 (0) | 2016.10.31 |
진도 5.1 5.8 체험해 보니 이정도 구나 (0) | 2016.09.12 |
반맹(半盲) 시각장애인을 위한 논문 Science Daily 뉴스 (0) | 2016.05.19 |
핵발전과 핵폭탄(원자력발전과 원자폭탄)의 농축우라늄 차이 (0) | 2016.02.29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