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D 2024. 2. 19. 07:58

16 나한(羅漢)상.

나한(羅漢)은 아나한 즉 아라한(阿羅漢)을 말하는데 그냥 "아"자를 빼고 줄여서 "라한" 즉 나한(羅漢)이라고 합니다.
산스크리트어로는 아르하트 즉 Arhat입니다.

사찰에 따라서 나한(羅漢)을 따로 모시는 나한전(羅漢殿)이 있는 곳도 있습니다.

나한(羅漢)은 불자가 수행해서 부처가 되는 최고의 이상상(理想像)을 말하는 것입니다.

많게는 500 나한을 모시는 곳도 있습니다.

나한(羅漢)은 아라한(阿羅漢), 응공(應供), 응진(應眞)이라고 표현하는 성인 중에서 불자가 도달하는 최고의 이상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아라한 자체는 원래 부처를 가리키는 명칭이었습니다.
후세에 내려오면서 세존과 구별되는 칭호로서 불자들이 수행해서 도달하는 최고의 위치(상)로 바뀌어 칭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니까 아라한(阿羅漢)은 불자가 성불한 자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단번에 아라한(阿羅漢)이 되는 것은 아니며 수행 결과에 따라서 범부(凡夫), 현인(賢人), 성인(聖人)의 순서로 칭하며 성인 중에서 최고의 깨달음에 도달하면 아라한(阿羅漢)이라고 칭 합니다.

16나한
8나한 16나한

 

불자는 마땅히 노력하여 중생에게 함부로 물질적 부담을 주지 않고 스스로 생활해야 하지만 아라한(阿羅漢)이 되면 세상의 존경을 받을 만한 하고 또 공양을 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 존자(尊者)가 되었다는 의미에서 응공(應供)이라고 쉽게 풀어서 칭 하기도 합니다.

 

아라한(阿羅漢)은 이미 번뇌를 끊고 생사윤회를 거듭하지 않는 해탈을 이루고 최고의 깨달음을 얻은 자이므로 그분들은 진리 그 자체로 볼 수 있다 하여 응진(應眞)이라고도 풀어 칭 하는 것입니다.

 

중생의 눈으로 볼 때 나한(羅漢)은 6가지의 신통력과 8가지의 해탈에 이르는 법을 모두 갖추었고 번뇌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부처가 되어서 성자로서의 신앙적 대상이 되는 것입니다.

아라한의 능력을 말하기는 곤란하지만 수행승 중 최고의 자리에 들어선 것이며 크게 3가지의 불교적인 의미로 해석합니다.

살 적(殺賊) 번뇌의 적을 그복한것입니다.

무생(無生)의 경지로서 영원히 열반에 들어 생명을 받지 않습니다.

천상(天上)인으로부터 공양을 받는 응공(應供)입니다.

 

많은 나한(羅漢)들은 석가께서 열반하신 후 정법(正法)을 수호하고 중생을 제도하는 지대한 사명을  충실하게 이행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금도 열반에 들지 않고 수명을 무한적으로 연장해 가면서 속세에 머물고 있으며 장차 미륵불이 나타날 때 영접 할 것이며 그때까지 중생을 교화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국 불교에서는 특정 나한(羅漢) 한 분을 모시는 영험 나한기도처가 있으며 그곳에는 나한(羅漢)께서 현신(現身)할 수 도 있고 특별하게 중생의 아픈 곳을 헤아려 주는 곳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불교적 사상으로는 대략 8세기 후반 말세 또는 새(新) 세상이 도래하는 생각과 함께 나한에 대한 신앙이 크게 깊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나한(羅漢)은 16 나한 또는 오백나한이 전부 신앙의 대상이며 큰 규모의 사찰에는 영산전(靈山殿)을 갖추고 석가모니불 좌를 중앙으로 좌우에 16나한 혹은 18 나한이나 오백나한을 봉안합니다.

 

사찰에 따라서는 석가모니불과 나한 상(像)을 불화로 그려 모시는 곳도 있습니다.

이때 나한도는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 양편으로 각각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가끔 나한 상이 탱화로 존재할 수도 있는데 이 때는 각 한 분의 나한을 1폭에 그려서 거대한 16폭 나한 탱화가 될 수도 있으며 두 분씩이나 네 분씩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정해진 규칙이 있는지는 모릅니다.

 

당(唐)의 현장(玄)의 저서 대아라 한 난제밀 다라 소설법주기(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에서 16 나한들의 명칭과 머무는 곳과 권속들의 정법수호가 설(說)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16 나한(羅漢)의 이름은 빈도라발라타사, 가락가벌차, 가락가 발리타사, 소빈타, 낙거라, 발타라, 가리가, 벌사라불다라, 수박가, 반탁가(半託迦), 나호라(羅), 나가서나, 인게타, 벌나파사, 아시다, 주다반탁가입니다.
그러나 16 나한에 이름이 없지만 큰 나한(羅漢)도 있습니다.
후세 독성(獨聖)하신 나한(羅漢)도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 나한 마애 불상 사진에서 각기 형태에 따라서 이름을 대입하기는 곤란합니다.

 

나한(羅漢)은 아라한(阿羅漢)이며 산스크리트어로는 arhat이며 팔리어로는 arahant입니다.


영어권에서는 해석해서 Perfected one이라고 하며 한 완벽한 존재라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who has attained nirvana 또는 enlightened, worthy, venerable, saintly one이라고 칭하는데...
깨 닳은 사람 성인 등으로 우리의 표현과 다르진 않습니다.

아래 16 나한 마애불상입니다.

 

16나한
8나한

8 나한 마애불

 


8나한 마애불

북사, 인용, 편집 재배포를 불허합니다.

 

연관 글 목록   

 

 

 

얼어 붙은 홍룡폭포와 관음전

홍룡사의 얼어 붙은 홍룡폭포 홍룡사는 양산시 상북면 대석리 천성산 아래에 위치한 조계종 선학원(禪學院)소속 사찰입니다. 신라 문무왕 13년인 673년 원효대사가 낙수사(落水寺)라는 이름으로

omnislog.com

 한 해를 보내면서 탑(塔)을 보려 합니다.

 

한해를 보내면서 탑(塔)을 보려합니다.

기반(基盤)과 탑신(塔身). 태어나서 지각이 생긴후 살아 오면서 한해 두해 보내다가 그 햇수가 쌓여 어느날 자기 나이를 생각해 보면서 푸념하게됩니다. 어는날 갑자기 다가온것 같은 계산으로

omnislog.com

선운사(禪雲寺)를 아시나요?

 

선운사(禪雲寺)를 아시나요?

도솔천궁으로 가는 선운산(禪雲山)선운사(禪雲寺) 탐방기 선운사(禪雲寺)는 선운산(禪雲山)아래의 백제 시대에 창건된 대한민국 명승고찰입니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이기도 합니다.

omnislog.com

 나한 사찰 사리암 가던 날

 

나한 사찰 사리암 가던날

영험도량 나반존자(那畔尊者) 사리암(邪離庵) 가던날. 오늘 일요일 경북 청도 운문사 사리암(邪離庵)을 다녀왔습니다. 운문사를 지나서 아름답고 운치있는 솔밭길을 걸어서 계곡깊고 산세험한

omnislog.com

문수암(文殊庵) 문수(文殊菩薩)께로 가는 길에서

.

 

문수암(文殊庵) 문수(文殊菩薩)께로 가는길에서.

문수보살(文殊菩薩)은 대승불교적으로 크고 높은 지혜를 상징하는 보살 입니다. 불교에서 대승보살(大乘菩薩)중의 한 분으로서 보통 문수(文殊)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경에서 문수사리(文殊師

omnislog.com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 시여!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 !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시여 ! 가식(假飾)과 오만(傲慢)을 버리고 진선(眞善)의 길로 가도록 가피(加被)하시옵소서. 올해는 불기2562년 무술년 서기2018년 단기4351년 입니다. 불기를 알아보면 불

omnislog.com

고전(古傳)의 향기 욱면 비염불서승

 

고전(古傳)의 향기 욱면비염불서승

욱면비 염불 서승 고전(古傳) 중에서도 삼국유사(三國遺事)는 역사서이지만 불교적 내용이 재미 있는 것이 많습니다. 삼국유사 제5권에 보면 욱면비염불서승(郁面婢 念佛 西昇)이라는 3페이지

omnislo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