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칠수 없는 사랑-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부모은중경- 父母恩重經
그 깊은 정 어느 땐들 그치리 - 그칠 수 없는 사랑 - 용주사에서..
불경은 삼라만상에서 언급하지 아니한 것이 없으며 인간이 가야 할 바른길을 하나도 빠짐없이 설(說) 하고 있습니다.
부모에 대한 마음을 새겨 볼 수 있게 하는 경전으로서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이 있습니다.
父母恩重經, T.2887 또는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은 부모의 은혜의 높고 넓음을 가르치고, 이에 보답할 것을 가르치는 대승불교 불경입니다.
출가하여 깨달음을 얻으라는 불교의 가르침이 중국을 거쳐 전래되면서 유교적 효를 배척하지 않고, 불교적인 효도를 설한 경전입니다.
용주사는 설립배경 부터 효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진 잘 알려진 조선시대의 사찰입니다.
용주사를 방문하고 군대생활 할 때 이곳에 있었던 오래된 기억을 더듬으며 한 바퀴 돌았습니다.
입구의 부모은중경이 새겨진 비석을 한참동안 바라보며 어리석고 너무나 모자란 나를 돌아보게 해 주어서 가슴이 아린 것을 느꼈습니다.
부모가 자식에게 쏟아붓는 마음은 사랑하며 아끼고 보살핀다는 이런 단어로는 한참 모자라는 표현입니다.
"깊은 정 어느땐들 그치리까 목숨이 다한날에 비로소 멈추리까?"
그 크고 깊은 정 어느 땐들 그치리...!!
불경(佛經)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은 부모의 그 칠 수 없는 사랑을 말해 주고 있습니다.
마지막의 구경연민은(究竟憐愍恩)이 부모마음의 전부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佛經(불경) 父母恩重經(부모은중경) 원문 에서.
"아버지 어머니의 깊고도 지극한 은정 언제나 사랑으로 넘쳐흐르도다.
입춘(立春)에 보는 명구, 대구- 대련- 단첩
입춘(立春)의 개략(槪略)입니다. 봄이 오면 재종춘설소(災從春雪消) 하고 복축하운흥(福逐夏雲興) 한다는 대구(對句)가 있습니다. 온갖 재난은 봄 눈 사라지듯 소멸하고 복은 여름날 구름이 몰아
omnislog.com
고려왕조(高麗王朝) 왕위계승도(王位継承圖).
고려왕조(高麗王朝) 계보 및 왕위계승도(王位継承圖). 고려(高麗)는 태조 왕건이 918년 건국하여 1392년 조선 왕조가 탄생하는 이성계의 조선 건국을 하기까지 474년간 한반도 지약을 지배한 왕국
omnislog.com
일흔일곱 굽이 도래재를 넘어가며..
굽이 굽이 일흔 일곱 고개 도래재를 넘어가며.. 도래재는 밀양시 산내면과 단장면을 오가는 고갯길로서 천왕산과 영산 사이로 넘는 높은 재입니다. 예로부터 고개가 너무나 높고 기상상태가 수
omnislog.com
생각만 나면 마음이 고조되는 그 때 !
지금도 군가를 들으면 감정이 요동칩니다. 군대를 다녀온 남자들은 노소(老小)를 불문하고 군대 이야기가 나오면 눈에 생기가 돌면서 갑자기 열을 올리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군을 제대 한 지
omnislo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