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영상-카메라/화훼정보-사진 OBD 2024. 9. 29. 14:52
늦개미취 Aster tataricus.가을이 오고 서늘한 바람 불 때 우리 산야의 계곡이나 언덕아래 한 무더기 피어 있는 개미취 중 늦개미취를 봅니다. 가을 정취를 담고 피어나는 한국의 아름다운 야생화입니다.늦개미취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깊은 산속이나 들판의 습지 주변에서 자생하는 예쁜 꽃입니다. 구절초와 비슷하긴 해도 늦개미취는 키가 아주 커서 1m 이상 자라곤 하지요.늦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피는 아름다운 자주색 꽃이 특인 늦개미취는 청명한 자태로 사랑을 받는 야생화입니다.늦개미취의 다른 이름. 자원, 소판, 협판채, 산백채, 자완, 자와 등. 자원(紫菀): 가장 널리 알려진 한자 표기입니다. 자색 꽃이 피는 식물이라는 의미. 소판(蘇板): 소생시키는 판이라는 뜻으로, 약재로 사용될 때 ..
사진-영상-카메라/화훼정보-사진 OBD 2024. 7. 16. 09:26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자원(紫苑) 개요 벌개미취는 Apiaceae 식물과 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입니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 자생하며, 산, 들판, 길가 등 다양한 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키는 30~80cm 정도까지 자라며, 잎은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고, 꽃은 흰색 또는 자주색깔, 연한보라빛 등으로 청초한 국화처럼 산방으로 핍니다.흔히들 들국화나 구절초와 비교되거나 헷갈릴 수있는 다년생 풀꽃입니다.원산지 및 분포 지역벌개미취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의 야생에 자생하며, 특히 한국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합니다.벌개미취(Aster koraiensis)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니까 거의 국화와 같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고려쑥부쟁이라고도 하는 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