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트림의 개념과,실행 하는것과 안하는것의 차이
- 컴퓨터-IT-인터넷-모바일/컴퓨터-인터넷
- 2025. 7. 14. 08:05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에서 TRIM(트림) 명령은 하드디스크의 조각모음과 비슷한 개념으로 성능 유지와 수명 연장에 매우 중요한 기능입니다. 아래에 개념부터 TRIM을 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의 차이를 정리해 봅니다.
TRIM의 개념
🔹 TRIM은 무엇인가요?
TRIM은 운영체제가 SSD에게 ‘이 블록은 더 이상 필요 없다’고 알려주는 명령입니다.
즉, 파일을 삭제하거나 이동했을 때 SSD가 해당 데이터 영역을 미리 비워둘 수 있도록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왜 필요한가요?
SSD는 덮어쓰기(write-overwrite)가 불가능하고, 데이터를 삭제 후 다시 써야 합니다.
운영체제가 파일을 삭제해도, SSD는 그 블록이 비어 있다고 모릅니다.
이때 TRIM을 통해 미사용 블록 정보를 전달하면 SSD가 백그라운드에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TRIM이 동작하는 경우와 안 하는 경우의 차이
구분, TRIM 사용, TRIM 미사용
속도 유지 성능: 일정하게 유지됨 ,시간이 지날수록 성능 저하
삭제 처리 : 실제 데이터 블록까지 비움, OS 상 삭제돼도 SSD는 유지
쓰기 효율 : 새 데이터 쓸 때 빠름, 데이터 덮기 위해 더 많은 작업 필요
수명 낭비되는 쓰기/지우기 작음 : → 수명↑ 불필요한 쓰기 증가 → 수명↓
성능 저하 : 느리지 않음 ,쓰기 성능 급격히 하락 가능
디스크 관리 : 정리 잘됨,쓰기 증폭’ 발생 위험 증가
예시: TRIM 안 하면?
파일 삭제 시
OS: “삭제함” 표시
SSD: 여전히 “그 블록은 사용 중”으로 간주
새로 쓸 때:
먼저 블록을 읽어
지우고 다시 써야 해서 느려짐
TRIM 사용 조건
조건 설명
운영체제 Windows 7 이상, macOS, Linux 등 대부분 지원
파일 시스템 NTFS, APFS, ext4 등 최신 파일시스템 필요
SSD 컨트롤러 TRIM 명령 지원해야 함
TRIM 활성화 확인
(윈도우) fsutil behavior query DisableDeleteNotify
결괏값 → 0이면 TRIM 사용 중
수동 TRIM 실행 (Windows)
cmd
복사
편집
defrag C: /L
위 명령은 SSD의 수동 최적화(Trim)를 실행합니다.
요약
TRIM = 운영체제가 SSD에게 ‘삭제한 데이터 공간’을 알려주는 기능
➜ TRIM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SSD는 빠르고 오래 쓸 수 있습니다.
TRIM 설정 확인법, Mac/Linux용 명령어, 블로그용 요약 이미지 카드
1. TRIM 설정 확인법
▶ Windows에서 TRIM 상태 확인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아래 명령어 입력:
bash
복사
편집
fsutil behavior query DisableDeleteNotify
결과 해석
결과 의미
DisableDeleteNotify = 0 ✅ TRIM이 활성화됨 (정상 상태)
DisableDeleteNotify = 1 ❌ TRIM이 비활성화됨 (비정상, 수동 설정 필요)
2. Mac에서 TRIM 확인 및 설정
▶ TRIM 활성화 여부 확인 (터미널):
bash
복사
편집
system_profiler SPSerialATADataType | grep 'TRIM'
▶ 결과 예시:
TRIM Support: Yes → ✅ TRIM 활성화
TRIM Support: No → ❌ 비활성화 (Apple 공식 SSD가 아니면 기본 비활성)
▶ TRIM 활성화 명령어 (비공식 SSD 사용 시):
bash
복사
편집
sudo trimforce enable
⚠️ 재부팅 필요하며,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백업 권장.
3. Linux에서 TRIM 확인 및 수동 실행
▶ TRIM 지원 여부 확인:
bash
복사
편집
lsblk --discard
→ DISC-GRAN, DISC-MAX 칼럼에 값이 있으면 TRIM 지원됨.
▶ fstrim 수동 실행:
bash
복사
편집
sudo fstrim -v /
→ 현재 마운트된 / 파티션의 미사용 블록 정리(TRIM) 실행됨.
▶ 자동 설정 (주기적 실행):
Ubuntu 등에서는 이미 fstrim.timer로 주 1회 자동 실행됨:
bash
복사
편집
sudo systemctl status fstrim.timer
4. 요약 설명
SSD TRIM이란? 꼭 알아야 할 속도 & 수명 관리법 내용
💡 TRIM이란? SSD에게 “삭제한 데이터 공간”을 알려주는 기능
✅ 켜져 있으면 빠른 속도, 긴 수명 유지
⚠️ 꺼져 있으면 쓰기 느려짐, 수명 단축 위험
확인법
Windows: fsutil,
Mac: system_profiler, Linux: fstrim
대부분의 최근 SSD는 자체 트림기능이 탑재됩니다.
#SSD트림 #SSD #TRIM #SSD최적화 #TRIM명령어 #SSD성능유지 #SSD수명연장 #WindowsTRIM #MacTRIM #LinuxTRIM #fstrim #DisableDeleteNotify #TRIM확인방법 #SSD속도
체크디스크(Chkdsk)의 놀라운 성능
교차 사이트 스크립팅을 방지하기 위해 Internet Explorer가 이 페이지를 변경했습니다. 교차 사이트 스크립팅을 방지하기 위해 Internet Explorer가 이 페이지를 변경했습니다. 교차 사이트 스크립팅을
omnislog.com
웹 페이지 최적화 결과
색인 및 방문자가 이상해 진 이후네이버의 SEO 즉 웹사이트 최적화를 위한 노력을 좀 한 후 결과를 측정했는데 이젠 100% 통과되었습니다.이제는 기다리는 수 밖에 없지만 일단은 노력한 결과는
omnislog.com
하드디스크 접근불가-파티션
하드디스크 접근불가 윈7을 새로 깔려던 중에 하드디스크 하나가 부팅불가가 되어 만지던중에 접근이 안됩니다.1테라바이트용량인데 사진이 많이 담겨있어서 난감함.새 하드디스크를 하나 사
omnislog.com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