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유적-역사인문전반 OBD 2024. 11. 25. 21:28
깊어가는 가을 한적한 시골길을 걷다가 만나는 어느 고가(古家)에 예술처럼 드리워진 담쟁이를 봅니다.가을볕에 한참을 익어 붉어진 담쟁이덩굴이 기와집 처마에 걸린 모습에 이끌려서 빈 고가(古家)를 한바퀴 돌아봅니다.세월의 풍상을 이긴 기와지붕에 자라난 이기와 잡초가 이 가을의 운치를 더해 줍니다. 낙엽이 마음대로 흩어진 뜨락과 오래된 마룻바닥을 보면서 서툰 시상(詩想)이 떠 오릅니다. 담쟁이의 유래를 알아보면 이름 그 자체로 예쁜 우리말입니다.담쟁이는 '담'자에 '쟁이라는 접미사'가 붙어서 된 순우리말입니다. 돌담이라 말할 때의 "담"에 붙어사는 놈 또는 녀석'이라는 뜻으로서 이 식물이 담벼락에 붙어서 자라는 생태적인 모습으로 된 예쁜 이름입니다.같은 말로써 사투리처럼 들리는 '담쟝이', '담장이덩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