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찔레꽃,하얀 찔레꽃

반응형

대표적인 여름 꽃 찔레꽃은 대부분 하얀 찔레꽃입니다.

하지만 대중음악 가사에도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 고향"이라고 불리는 것을 보면 옛날에는 붉은 찔레꽃이 흔했나 봅니다.

우리 주변에서 보는 찔레꽃은 대부분 하얀찔레꽃이니 붉은 찔레꽃이 있는지도 모르는 분이 많습니다.
요새는 희귀성 때문에 많이 번식시켜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나 봅니다.

그래도 붉은 찔레꽃을 우연히 보면서 많이 반가웠습니다.

아래 하얀 찔레꽃과 붉은 찔레꽃 사진을 올립니다.

 

붉은찔레꽃

붉은찔레꽃

 

하얀 찔레꽃


찔레꽃은 우리나라 전국의 산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낙엽활엽관목이지만 하얀 찔레꽃에 대한 말이고 붉은 찔레꽃은 언제부터 없어진 것인지 모르지만 흔히 볼 수는 없습니다.

 

봄부터 여름까지 작은 흰색 또는 붉은색 꽃을 피우며 가을에 익어서 붉은 열매가 달립니다.
열매 크기는 대개  2~3mm이며 나무 줄기는 약 3~5 미터까지 자라며 대개 가시가 있는 나무입니다.

잎의 길이는 5~10 센티미터로  털이 없고 뒷면에 잔털이 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모양이지만 붉은 찔레나 하얀 찔레나 구별은 못합니다.

붉은 찔레꽃
하얀 찔레꽃

꽃이 예쁘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기르며 울타리 목으로도 키웁니다.

붉은 찔레꽃
하얀찔레꽃

 

찔레꽃나무 꽃,열매 의 이용
약재
찔레꽃의 열매는 영실(營實)이라고 하며 이미 한약재로 쓰이고 있습니다.
찔레꽃은 불면증, 건망증, 간 질환, 당뇨, 중풍 마비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식용
찔레꽃 나무의 어린순은 김치로도 담가 먹을 수 있으며 옛날에는 아이들이 주점 버리로 먹기도 했습니다.
또 차나 화전으로 식용이 가능하며 앞으로 개발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동속의 비슷한 나무로 제주 찔레(Rosa luciae)가 있으며  제주를 비롯한 남쪽 지방에 서식하는데 위의 붉은 찔레나 하얀 찔레와는 구별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붉은 찔레꽃

붉은 찔레꽃

 


찔레꽃의 학술적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 쌍떡잎 식물군-  장미군-  장미목-  장미과- 장미 속-  찔레(R. multiflora)
학명::Rosa multiflora
Thunb. 1784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