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선 ,이게 실화입니다.
- 카테고리 없음
- 2024. 7. 24. 11:28
온라인에서 아래 인력 장벽 사진을 여기저기서 봅니다.
노동력이 남아돌아 발 디딜 틈도 없이 무제한 인력을 투입해서 대전차 방벽을 만드는 휴전선의 북한 군 인력들을 보며 말로만 듣던 인해전술이 생각납니다.
아래 사진을 보며 경악을 금치 못하겠습니다. 현재 21세기의 공사 현장이 틀림없는지 외국인들이 보면 팩트확인 들어갈 일입니다.
북한이 남한보다 경제력이 떨어지고 생산성이 극도로 비 효율적이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인간 방벽을 보는 듯 한 북한군의 작업현장을 생생하게 보면서 할 말을 잃었습니다.
기초 공사하는 장비와 형틀 작업하는 사람과 포클레인 한대와 레미콘만 공급하면 대부분 작업 끝날 것으로 보는 별것 아닌 공사 현장입니다.
인력으로 하는 작업이 얼마나 비생산적이고 비 효율적이란 것은 그들도 모를 리 없을 것입니다.
이 한 장의 사진을 보면서 소모품처럼 남아도는 인력을 부담 없이 투입할 수 있는 잉여 인력이 어마 어마 하다는 뜻입니다. 또는 길 내고 평탄 작업 할 만한 중장비가 너무 부족하던지 중장비에 넣을 기름까지 없기야 하겠는가? 하면서도 그럴 가능성도 생각하게 됩니다.
말로만 듣던 북한 공사 현장 저런 것인가 봅니다. 정말 소름 돋는 인력을 투입하는 공사현장입니다.
북한 정권이 모르는 것은 저렇게 많은 인력자원을 투입해서 결과를 얻는다 한들 경장이 비싼 공사를 한다는 사실입니다.
70년대 곡갱이 삽으로 공사하던 때가 생각나는 21세기의 기막힌 공사현장을 봅니다.
아래사진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는 공사 현장의 사진 한 장입니다.
현대적인 토목 공사에는 인력이 사실상 필요 없습니다.
만약 북한이 이런 공사를 한다면 사람으로 바글바글한 일꾼들을 보게 될 것을 생각하면 아찔합니다.
제미니에 물어본 북한 건설장비 부족 실태
북한 건설 장비 부족 심각: 현황과 남북 협력 가능성 분석
1. 북한 건설 장비 부족 현황:
노후화된 장비 만연: 대부분 1970~80년대 제작된 소련·동유럽산 장비들이 주력으로 운영되고 있어, 성능 저하, 사고 위험 증가, 유지비 부담 가중 등의 문제가 심각합니다.
부품 부족: 국제사회의 제재와 기술 격차로 인해 현대식 장비나 부품 공급이 어려워, 고장 난 장비를 수리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부족한 수량: 건설 투자 확대에도 불구하고 장비 보유량 증가가 미흡하여, 공사 진행 속도 저하, 건설 품질 악화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굴삭기, 도로포장 장비, 콘크리트 믹서 트럭 등 핵심 장비 부족이 심각합니다.
2. 부족의 원인:
국제사회의 제재: 북한에 대한 제재 조치로 인해 선진 국가산 건설 장비나 부품의 직접 수입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기술 낙후: 오랜 기간 지속된 폐쇄 경제 체제와 기술 개발 부진으로 인해, 현대식 건설 장비 생산 능력이 부족합니다.
자금 부족: 만성적인 경제난으로 인해 건설 장비 구입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자금 확보가 어려워, 장비 노후화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3. 부족의 영향:
건설 속도 저하: 노후화된 장비로 인한 작업 속도 저하와 공사 지연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건설 품질 악화: 열악한 장비 상태로 인해 건설 품질 저하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인프라 구축 어려움: 도로, 철도, 주택 등 사회 기반 시설의 건설 및 보수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경제 성장 저해: 건설 산업의 생산성 저하가 국민 경제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4. 남북 협력 가능성:
장비 공급: 남한 기업들이 북한에 건설 장비를 공급하는 방식의 협력이 가능합니다. 이는 남한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 기회 확대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기술 지원: 남한의 건설 기술 및 노하우를 북한에 전달하여, 현대식 건설 장비 생산 및 유지보수 능력을 강화하는 협력이 필요합니다.
공동 투자: 남북 합작 투자를 통해 북한에 현대식 건설 장비 생산 공장을 설립하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습니다.
5. 결론:
북한의 건설 장비 부족 문제는 경제 발전과 사회 기반 시설 구축에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남북 협력을 통해 건설 장비 공급, 기술 지원, 공동 투자 등을 추진한다면, 북한 경제 회복과 남북 경제 통합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남북 정치 상황의 변화와 국제 사회의 제재 완화 여부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참고자료:
통일부, "남북경제협력 현황 및 전망"(2023년)
한국개발연구원, "북한 경제의 현황과 과제: 남북경제협력의 관점에서"(2022년)
Daily NK, "북한, 건설장비 부족으로 공사 지연 심각"(2024년 5월)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