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般若心經)에 나오는 핵심 3구절

반야심경(般若心經)에 나오는 핵심 3구절



반응형

반야심경(般若心經)에서 나오는 핵심 3구절


불생불멸(不生不滅), 불구부정(不垢不淨), 불증불감(不增不減)
각각에 대한 원문, 현대어 번역, 의미 해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 『반야심경(般若心經)』 핵심 구절 3절 해설

 

1. 不生不滅 (불생불멸)
원문
色不異空,空不異色,色即是空,空即是色,受想行識亦復如是。
是故空中無色,無受想行識…無眼耳鼻舌身意,無色聲香味觸法…
無無明,亦無無明盡,乃至無老死,亦無老死盡。
無苦集滅道,無智亦無得。

이어지는 핵심 줄:

以無所得故,菩提薩埵依般若波羅蜜多故,心無罣礙,無罣礙故,無有恐怖,遠離顛倒夢想。究竟涅槃。

현대어 번역


생겨나는 것도 없고, 사라지는 것도 없다.
즉, 모든 존재는 본래 태어남도 없고 죽음도 없는 공(空) 한 상태다.

우리말로 해설

 

‘불생불멸’은 공성(空性)의 핵심입니다.
만물은 원인과 조건에 의해 잠시 나타날 뿐이며,
그 자체로 실체가 없기 때문에 태어남도, 사라짐도 본래 없습니다.
이는 생사에 대한 근본적 집착에서 벗어나게 합니다.

 2. 不垢不淨 (불구부정)
원문
不垢不淨,不增不減。

현대어 번역
더러움도 없고, 깨끗함도 없다.

우리말 해설

 

‘불구부정’은 선악, 좋고 나쁨, 더럽고 깨끗함 같은
이분법적 분별에서 벗어나는 것을 뜻합니다.
모든 것은 공한 본질 위에 있는 마음의 투사(投射) 일뿐입니다.
따라서 집착하거나 혐오할 필요가 없습니다.
진정한 평등심, 자비심은 불구부정의 통찰 위에 세워집니다.

3. 不增不減 (불증불감)

 

원문
不垢不淨,不增不減。

현대어 번역
늘어나는 것도 없고, 줄어드는 것도 없다.

 



우리말 해설


‘불증불감’은 무상성(無常性)과 공성의 연장선입니다.
모든 것은 본래 정해진 실체가 없기 때문에,
무엇도 실제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실존이 아닙니다.
마음도, 지혜도, 공덕도 본질적으로는 공한 것이며
‘얻을 것조차 없다’는 깨달음에 이르게 됩니다. (無所得故)

반야심경(般若心經)에서 나오는 핵심 3구절
반야심경(般若心經)에서 나오는 핵심 3구절

전체 요약 : 3대 구절 핵심 정리


不生不滅 생기지도 않고 사라지지도 않음 생사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아라
不垢不淨 더럽지도 않고 깨끗하지도 않음 분별심을 버리고 평등심을 지녀라
不增不減 늘지도 줄지도 않음 실체가 없음을 알고 집착하지 말라


반야심경 핵심 구절 — 한글 발음 (독음)


원문 + 한글 발음
1️⃣
色不異空,空不異色,色即是空,空即是色,受想行識亦復如是。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2️⃣
是故空中無色,無受想行識,無眼耳鼻舌身意,無色聲香味觸法。

시고공중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3️⃣
無無明,亦無無明盡,乃至無老死,亦無老死盡。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4️⃣
無苦集滅道,無智亦無得。

무고집멸도 무지역무득

5️⃣
以無所得故,菩提薩埵依般若波羅蜜多故,

이무소득고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

6️⃣
心無罣礙,無罣礙故,無有恐怖,遠離顛倒夢想,究竟涅槃。

심무괘애 무괘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중요참고

한글 독음은 전통 한자음 기준으로 문단별로 정리한 것이고, 불교 독송 스타일에 맞게 띄어쓰기는 하지 않았습니다. 실제 독경 시에는 음의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전부 붙여 읽습니다.

 

반야심경(般若心經)에서 나오는 핵심 3구절
반야심경(般若心經)에서 나오는 핵심 3구절

 

#반야심경 #불생불멸 #불구부정 #불증불감 #관자재보살 #공사상 #불교철학 #대승불교 #무아 #열반 #깨달음 #반야바라밀다 #불경공부 #불교명상 #마음공부

 

 

 

구례(求禮 華嚴寺)화엄사(華嚴寺)의 아름다운 전각(殿閣)들과 석조물(石造物)

구례(求禮 華嚴寺)화엄사(華嚴寺)의 아름다운 전각(殿閣)들과 석조물 (石造物)  발행일자 2016-07-25 11:20 구례 화엄사는 사적 제505호 이며  지리산 화엄사 일원(智異山 華嚴寺 一圓)은 명승 제64호

omnislog.com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Mind is everything.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말이 생각 납니다. 날씨가 점점 더워집니다. 때약볕에서 일 하는 사람,최전방에서 나라를 지키는 국군들이 특히 힘 들것입니다. 지금 이시간에도 지구촌 어딘가에

omnislog.com

 

 

고전(古傳)의 향기 욱면비염불서승

16 나한(羅漢). 16 나한(羅漢)상. 나한(羅漢)은 아나한 즉 아라한(阿羅漢)을 말 하는데 그냥 "아"자를 빼고 줄여서 "라한" 즉 나한(羅漢)이라고 합니다. 산스크리트어로는 아르하트 즉 Arhat 입니다.

omnislog.com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