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성과 국제 결혼하는 여성 수 국가 순위와 특징

한국 남성과 국제 결혼하는 여성 수 국가 순위와 특징



반응형

한국인 남성과 국제 결혼하는 여성수 국가 순위


통계청 자료와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한국으로 시집오는 외국인 여성의 국적 순위는 해마다 변동이 있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순서를 보입니다(비공식, 추정 ).

최근 몇 년간 여성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국적은 베트남입니다. 2017년부터 중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으며, 이후 꾸준히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농담으로 베트남은 한국의 며느리의 나라 라고 하는 것은 우연이 아닌 것 같습니다.

2023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 남성과 결혼한 외국인 아내의 국적은 베트남이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중국과 태국이 이었습니다.


역사의 예를 보면 국가 간으로 중요한 결속을 맺기 위해서 공주나 왕자를 결혼시켜 사돈이 되고 혈통으로 이어지게해서 사로 끈끈한 유대를 가지려고 헸습니다.

모르긴 해도 먼 미래에는 베트남과 한국은 아주 밀접한 우호국이 될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개인적인 검색으로 알아본 내용을 보면 베트남이 1위이고 이어서 중국이 2위입니다. 과거에는 중국이 가장 많았지만, 최근에는 2위로 내려왔습니다.

이외에 태국, 필리핀, 일본, 캄보디아, 우즈베키스탄 등이 뒤를 이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순위는 통계 연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전체 국제결혼 건수도 매년 변동이 있으며 광범위한 국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국 남성과 국제결혼하는 여성 국가 톱 20을 재미로 알아봅니다.

정확한 최신 '톱 20' 순위는 통계청에서 매년 발표하는 국제결혼 관련 통계를 참고해야 하지만, 최근 몇 년간의 자료를 종합하면 한국 남성과 결혼하는 외국인 여성의 국적 상위 20개국은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습니다. 순위는 매년 조금씩 변동될 수 있습니다.

국제결혼 여성 국적 순위 (대충)


1, 베트남 🇻🇳
2, 중국 🇨🇳
3, 태국 🇹🇭
4, 필리핀 🇵🇭
5, 캄보디아 🇰🇭
6, 일본 🇯🇵
7, 우즈베키스탄 🇺🇿
8, 미국 🇺🇸
9, 러시아 🇷🇺
10, 몽골 🇲🇳
11, 키, 르흠집스탄 🇰🇬
12, 네팔 🇳🇵
13, 대만 🇹🇼
14, 카자흐스탄 🇰🇿
15, 라오스 🇱🇦
16, 영국 🇬🇧
17, 인도네시아 🇮🇩
18, 미얀마 🇲🇲
19, 홍콩 🇭🇰
20, 호주 🇦🇺

국제결혼 순위 주요 특징

 

아시아 국가의 높은 비중: 순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베트남, 중국, 태국 등 아시아 국가들입니다. 특히 베트남은 2016년부터 중국을 제치고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독립국가연합(CIS) 국가: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들도 상위권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며 증가하고 있습니다.

서구권 국가: 미국, 영국, 호주 등 서구권 국가들도 상위권에 포함되지만, 이들 국가는 주로 한국에서 유학이나 직장 생활을 하다가 결혼하고 눌러앉는 사례가 많습니다.

 

한국 남성과 국제 결혼하는 여성 수 국가 순위와 특징
한국 남성과 국제 결혼하는 여성 수 국가 순위와 특징

 


2023년 국제결혼 아내 국적 순위 (혼인 건수) 


통계청의 '2023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과 혼인한 외국인 아내의 국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베트남: 전체 외국인 아내 중 **27.6%**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습니다.
2, 중국: 19.0%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3, 태국: 16.1%로 3위에 올랐습니다.


이어서 4, 필리핀, 5, 일본, 6, 캄보디아, 7, 우즈베키스탄 등이 뒤를 이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3년 국제결혼 주요 특징

국제결혼 증가: 2023년 전체 국제결혼 건수는 2만 건으로, 전년 대비 18.3% 증가했습니다. 이는 12년 만에 처음으로 전체 혼인 건수가 증가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성별 비중: 한국인과 결혼한 외국인 배우자 중 여성의 비중은 69.8%로, 남성 배우자보다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아시아권 집중: 국제결혼 아내의 국적은 베트남, 중국, 태국 등 아시아 국가에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국제결혼 여성 수와 국적 순위 톱 10 , 2023년 기준

2023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 남성과 결혼한 외국인 여성의 수는 총 14,710명입니다. 이들의 국적 순위는 베트남이 1위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중국과 태국이 이었습니다.


2023년 국제결혼 여성 국적 순위 (Top 10) 


통계청의 2023년 혼인·이혼 통계와 관련 자료를 종합하면, 한국 남성과 결혼한 외국인 아내의 국적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통계는 혼인 건수를 기준으로 하며, 각 국적별 정확한 건수와 비율은 통계청 발표 자료마다 소폭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베트남: 4,923명 (전체 외국인 아내의 33.5%)
2, 중국: 2,668명 (18.1%)
4, 태국: 2,017명 (13.7%)
5, 일본: 840명 (5.7%)
6, 필리핀: 629명 (4.3%)
7, 미국: 558명 (3.8%)
8, 캄보디아: (상위 7위)
9, 우즈베키스탄: (상위 8위)
10, 러시아: (상위 9위)
11, 몽골: (상위 10위)

 

 

국제결혼 주요 특징

 

아시아 국가의 높은 비중: 국제결혼 여성의 국적은 베트남, 중국, 태국 등 아시아 국가에 집중되어 있으며, 상위 10개국 대부분이 아시아권에 속합니다. 이는 지리적, 문화적 접근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 혼인 건수 증가 견인: 2023년 전체 국제결혼 건수는 2만 건으로 전년 대비 18.3% 증가했습니다. 이는 전체 혼인 건수 반등의 주요 원인이 되었습니다.

성별 불균형: 외국인 배우자와의 혼인에서 여성의 비중(약 70%)이 남성(약 30%) 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한국 남성과 국제 결혼하는 여성 수 국가 순위와 특징
한국 남성과 국제 결혼하는 여성 수 국가 순위와 특징




결혼소개 전문회사를 통한 비율과 스스로 결혼한 비율

국제결혼에서 결혼소개회사를 통한 비율과 스스로 결혼한 비율에 대한 공식적인 최신 통계는 찾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2022년 여성가족부의 '결혼중개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제결혼 중개업체를 통한 성혼 건수는 전체 국제결혼의 약 6% 수준으로 미미 한 결과입니다.


결혼 방식별 비율 (추정, 비공식) 

중개업체 이용 비율: 2022년 기준 약 6%
이는 2022년 한 해 동안 결혼중개업체를 통해 성사된 국제결혼 건수가 약 1,100건으로 집계된 것에 따른 추정치입니다.
중개업체를 이용하는 주 연령대는 40대 이상이 86.5%로 대다수를 차지하며, 배우자 출신국은 베트남이 가장 많았습니다.

자율결혼 비율: 약 94% (추정)
전체 국제결혼 건수에서 중개업체를 통한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입니다.

'자율결혼'은 유학, 직장, 여행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개인적으로 만나 결혼한 경우를 포함합니다.
이러한 자율결혼은 주로 선진국 출신 배우자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남성과 결혼하는 미국, 일본, 캐나다 출신 여성의 경우 대부분 개인적인 만남을 통해 결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 한 때 결혼 중개업체에 의뢰해서 주로 신부를 맞이했던 것과 달리 점점 , 한국의 국제결혼은 대부분의 경우 당사자들이 직접 만나 교제하며 이루어지는 자율결혼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결혼중개업체를 통한 결혼은 일부 특정 계층이나 연령대에서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남성과 국제 결혼하는 여성 수 국가 순위와 특징
한국 남성과 국제 결혼하는 여성 수 국가 순위와 특징

 

 

 

한국으로 입국하는 외국인 순위와 현황

전국 228개 시·군·구 인구소멸위험지수 순위 100세이상 지역분포로 보는 고령 인구 고찰 고령자 분포 지역 분석통계청 발표를 근거로 100세 이상 고령 인구 분포를 분석해 봅니다.우리나라 총인

omnislog.com

 

 

전 세계 무기수출국(武器輸出國) 순위 톱 10

세계 무기 수출국 순위 톱 10 및 주요 무기  Ranking of arms exporting countries 2025년 현재, 세계 무기 수출 시장은 복잡하고 역동적인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스톡홀름 국제평화문제연구소(S

omnislog.com

 

 

대한민국과 베트남 비교 Korea and Vietnam

대한민국과 베트남 일반적 비교   Comparison of South Korea and Vietnam 1. 국토면적 대한민국: 100,210 km² (세계순위 107위) 베트남: 331,210 km² ( 세계순위  66위) 2. 인구 2023년 대한민국: 5,185만 명 (

omnislog.com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