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 OLED, 중국 BOE소송 결과와 BOE 분석

삼성디스플레이 OLED, 중국 BOE소송 결과와 BOE 분석



반응형

삼성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영업비밀 침해 소송결과와 BOE 현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영업비밀 침해 소송”관련 요약.


삼성디스플레이 vs. BOE: OLED 영업비밀 침해 소송결과 및 BOE 현황

1. 소송 경위

2023년 10월 31일 삼성디스플레이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중국 BOE 및 계열사들을 대상으로 OLED 관련 영업비밀 침해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미래를미국 국제 무역 위원회

2. 예비 판결 (2025년 7월)

2025년 7월 ITC는 BOE가 OLED 제조공정 관련 내부 문서를 무단 복사·전달·활용했으며, 해당 문서들이 ‘영업비밀’ 요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뉴데일리한국경제미국

이에 따라, BOE의 OLED 패널 및 관련 부품에 대해 **제한적 수입금지 명령(LEO)**과 **행위 중단 및 중지 명령(CDO)**을 권고했습니다. 한국경제미국엠투데이

3. 수입금지 기간

ITC는 기술 개발에 소요된 시간을 고려해 약 14년 8개월 동안 BOE의 미국 OLED 제품 수입을 금지하는 권고안을 내렸습니다. 이데일리 SamMobileKED매일경제조선비즈

이는 전례 없는 규모의 제재로 평가됩니다. 이데일리 KED

4. 지금까지의 진전 및 전망

예비 판결의 경우, ITC 최종 판결(확정안)은 2025년 11월 예정이며, 이후 대통령 승인 절차(60일)가 남아 있습니다. 실질적인 시행은 올해 말 또는 내년 초가 될 수 있습니다. 뉴데일리

업계에서는 예비 판결이 최종 판결로 이어지는 사례가 약 80%에 달해, 삼성디스플레이의 승소가 유력한 상황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뉴데일리엠투데이매일경제

 

5. 미국 법원 소송도 병행 중

삼성디스플레이는 ITC 소송과 별도로 텍사스 동부 연방법원에서도 BOE 및 계열사들을 상대로 영업비밀 침해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미래를

해당 소장에는 BOE가 삼성디스플레이 직원들을 영입하고 협력 업체를 통해 핵심 기술을 유출했다는 주장, 마이크로 OLED 개발 및 미국 기업과의 거래 추진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손해배상 및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고 있습니다. 미래를

 

 

 

한눈에 보는 요약표

 

제소 시점 2023년 10월 (ITC), 이후 미국 연방법원 소송
예비 판결 시점 2025년 7월
주요 판단 BOE의 OLED 영업비밀 침해 사실 인정
제재 권고 제한적 수입금지(약 14년 8개월), 마케팅·판매 중단 등
최종 판결 예정 2025년 11월, 이후 대통령 검토 (60일)
실효 시점 올해 말 또는 내년 초 전망
보조 소송 텍사스 법원에서 손해배상 청구 중

 

예비 판결 내용

삼성디스플레이는 BOE에 대해 OLED 기술 관련 영업비밀 침해를 국제무역위원회(ITC)미국 연방법원을 통해 강력히 대응 중이며, 예비 판결을 통해 사실상 승소한 상태입니다. BOE의 미국 시장 진출은 최대 15년간 제한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ITC 최종 판결 이후 확정될 전망입니다.

 

중국 BOE는 어떤 회사인가?

중국 **BOE Technology Group(京东方科技集团)**는 세계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중 하나로, 한국의 삼성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와 직접 경쟁하는 회사입니다.

1.BOE 기본 개요

설립: 1993년

본사: 중국 베이징(北京)

상장: 선전증권거래소(SZSE: 000725)

직원 수: 약 7만 명 이상

 

사업 분야: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 LCD, OLED, Micro OLED, Mini LED 등

IoT 설루션 – 스마트 의료, 스마트 교통, 스마트 교육 등

센서 및 부품 – 카메라 모듈, 센서, 터치 설루션

반도체·마이크로디스플레이 – AR/VR용 마이크로 OLED, 마이크로 LED

2. 디스플레이 사업 현황

LCD 부문:

2010년대 후반부터 TV·모니터·노트북용 LCD 패널 출하량 세계 1위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장악

 

OLED 부문:

스마트폰용 플렉시블 OLED에 적극 투자

주요 고객: 화웨이, 오포, 비보, 샤오미 등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 일부 모델에도 공급 시도

 

마이크로 OLED:

AR/VR 헤드셋, 웨어러블 기기용으로 개발

애플, 메타 등 글로벌 기업과의 거래 타진 중

 

 

 

3. 특징과 경쟁력

국가 지원: 중국 정부·지방정부의 대규모 보조금과 세제 혜택

공격적 투자: 연간 수십억 달러 규모의 신규 라인 건설

수직 계열화: 패널 생산부터 모듈 조립, 완제품 공급까지 자체 체인 보유

가격 전략: 경쟁사 대비 저가 공급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4. 논란과 리스크

지식재산권 분쟁:

이번 삼성디스플레이 OLED 영업비밀 침해 사건처럼, 한국·미국 등에서 지재권 소송 다수

과잉 투자 위험: LCD 시장 가격 폭락 시 재무 부담

품질 논란: 초기 OLED 품질이 삼성·LG 대비 낮다는 평가

 

 

5. 시장 위치 (2024년 기준)

부문세계 순위주요 경쟁사

 

TV용 LCD 패널 출하량 1위 CSOT,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스마트폰 OLED 출하량 2~3위권 삼성디스플레이(1위), LG디스플레이
AR/VR용 마이크로 OLED 성장 초기 소니, 삼성, eMagin

 

정리하면, BOE는 중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대표 주자로, LCD에서는 이미 세계 1위, OLED·마이크로 OLED에서도 급속히 성장 중인 기업입니다. 하지만 기술력 확보 과정에서의 지재권 침해 논란과 품질 격차가 여전히 약점으로 꼽힙니다.

 

2022년 소형·중형 AMOLED 시장 출하량 점유율을 보여주는데, 삼성디스플레이가 56%로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BOE가 12%로 LG디스플레이(11%)를 제치고 2위로 부상한 모습입니다.

아래는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BOE의 OLED 관련 생산능력(CAPA)을 비교한 표입니다. 주요 수치는 2025~2026년을 기준으로 합니다.

삼성디스플레이--BOE--LG디스플레이 순

소형·중형 AMOLED 시장 점유율 (2022) 56% 12% (2위) 11% (3위)
8.6세대 OLED 생산능력 (2026년 양산 기준) 월 1.5만장 서울경제 월 3.2만장 (삼성 대비 배 이상) 뉴데일리서울경제  
Apple용 iPhone OLED 패널 생산능력 우위 (주요 공급사) AppleInsiderAlphaSquare iPhone 전용 라인 11개 가동, 월 약 800만대 생산 가능 (라인당 350,000대 기준) MacRumorsRedditNate News 공급 중이나, BOE 및 삼성 대비 상대적 비중 낮음 AppleInsiderAlphaSquare
차량용 OLED 출하량 (2024 기준) 164만대 (1위), 매출 약 4억9200만 달러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62만대 (2위), 매출 약 1억7600만 달러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40만대 (3위), 매출 약 1억8700만 달러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삼성, LG , BOE 요약 

삼성디스플레이는 소형·중형 AMOLED 시장에서 여전히 강력한 1위이며, 차량용 OLED에서도 출하량 및 매출 모두 압도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BOE는 공격적인 설비 증설을 통해 OLED 분야에서 빠르게 약진 중입니다. 특히 8.6세대 라인에서 삼성의 두 배 규모 CAPA를 구축하면서, iPhone OLED 생산능력도 월 800만 대에 달해 주요 경쟁사로 부상 중입니다.

 

LG디스플레이는 재무적인 어려움과 시장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대규모 투자를 보수적으로 진행 중이며, OLED 생산능력 측면에서 삼성과 BOE보다는 뒤처지는 상황입니다.

 

결론적으로, BOE는 설비 투자와 생산능력을 빠르게 확대하며 OLED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를 맹추격하고 있습니다. 다만, 기술력, 품질, 그리고 브랜드 신뢰도의 격차는 여전히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OLED 투자 라인 현황 — BOE,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비교

1, BOE (China)

2025년 출하 목표: 유연 AMOLED 1억 7천만 대, 전년 대비 21% 증가 목표 OLED Info.

 

주요 생산 기지:

충칭: 6세대 AMOLED 라인 — 초기 기술 문제 발생해 생산 지연 OLED Info.

B11 라인: iPhone 전용 OLED 모듈 연간 생산능력 약 100백만 장 — 월 8~9백만 장 생산 가능 (이용률 90%, 수율 85% 기준) OLED Info.

 

출하 실적: 2025년 상반기 iPhone 패널 약 2,100만 장, 하반기 2,400만 장 예상 — 연간 약 4,500만 장.

 

마이크로 OLED 및 Si 기반 디스플레이:

베이징(B20): Si 기반 마이크로디스플레이 R&D 및 생산.

충칭: VR용 AMOLED.

쿤밍: OLEDoS 12″ 및 8″ 라인 운영.

 

요약: BOE는 기초 CAPA 확대와 함께 Si 기반 및 마이크로 OLED 기술까지 폭넓게 확장하는 중입니다.

 

2, 삼성디스플레이 (Samsung Display)

 

베트남 투자: 북부 베트남 옌퐁(Yen Phong) 산업단지에 OLED 공장 건설에 18억 달러 추가 투자. 차량 및 IT용 OLED 생산 확대 예정 Reuters.

 

폴더블 OLED: Apple용 폴더블 iPhone 화면 연간 최대 1,500만 대 생산 라인 준비 중. 초기 물량은 600만~800만 대 예상 Tom's Guide.

 

향후 MacBook Pro OLED 공급: 2026년 OLED MacBook Pro 출시 예정이며, 삼성디스플레이의 Gen 8.6 OLED 라인이 주요 공급처로 거론 중 TechRadarCinco Días.

 

요약: 대규모 투자(베트남), 폴더블 OLED 강점, 고해상도 노트북 OLED 공급으로 경쟁력 강화 중입니다.

 

3, LG디스플레이 (LG Display)

대규모 투자 계획:

총 약 1.26조 원(약 9억 1천만 USD)을 2025년 6월부터 2027년 6월까지 Paju 라인 중심으로 차세대 OLED 인프라 구축에 투자 LGmdtoday.co.kr.

Paju에는 5억 1500만 달러, 베트남 모듈 공장엔 4억 1200만 달러 추가 투자 예정 NewsyListOLED Infoen.yna.co.kr.

 

 

전략 방향: 8세대 생산 확대보다 품질·효율 위주로 기존 라인 업그레이드 및 WOLED/LTPO 등 기술개량 중심 economy.acAInvest.

 

 

재무와 설비 투자:

2024년 시설 투자 약 2조 원 수준 중 OLED 투자 4,160억 원, 원재료 확보 6,220억 원 활용 Korea Joongang Daily.

OLED 사업 비중, 수익성 점유율 상승: 2025년 Q2 기준 전체 매출의 55%, EBITDA 마진 20% 기록 AInvest.

 

 

제품 혁신:

4세대 Tandem OLED 기반 720 Hz 게이밍/모니터 및 초고휘도 상업용 OLED 개발 중 Tom's GuideTom's Hardware.

 

 

요약: LG Display는 재무 건전성과 기술 차별화를 기반으로, 효율 중심의 OLED 고급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종합 비교표

기업주요 투자/라인목표 및 전략 방향
BOE B11 iPhone 전용, 충칭 6세대, 베이징·쿤밍 마이크로 OLED CAPA 확대 + Si/OLED 기술 다양화
삼성디스플레이 베트남 OLED 공장, 폴더블 OLED, MacBook OLED 라인 대규모 인프라 투자 + 폴더블/노트북 OLED 주도
LG디스플레이 Paju·베트남 인프라 투자, 기존 라인 고성능화 기술 고도화 중심 전략 (LTPO, WOLED, 고주사율 패널 등)

 

매출, CAPA, 기술 전략 측면에서 각기 다른 방향성을 보이고 있는데요. 특정 기기(예: 차량용 OLED, 애플용 OLED)와의 연관성 분석은 다음 회에...

 

 

기업별 OLED 투자 규모

1. BOE (중국)

충칭 Chengdu 8.6세대 OLED 라인 투자: 약 88.4억 달러를 투자해 IT 기기용 대형 OLED 생산 능력 강화 Stellar Market Research.

2.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TV 라인 투자: 약 108.5억 달러(한화 약 13.1조 원)를 투입해 QD-OLED TV용 생산 및 연구개발 강화 OLED Info.

이외에 2019~2025년까지 약 103억 달러(13조 원) 규모로 QD-OLED 기술 전환을 목표로 한 투자를 발표 KED Global.

3. LG디스플레이

2025~2027년 투자 계획: 약 **1.26조 원(약 920~917 million USD)**를 차세대 OLED 기술 개발과 설비 확충에 투입 예정 디지털타임스 flatpanelshd.comnews.lgdisplay.com.

해당 투자는 주로 파주(Paju) 생산 거점 등에 집중될 예정입니다 news.lgdisplay.com.

 

요약 테이블

기업투자 규모투자 목적 및 내용

BOE $8.84 B Chengdu 8.6세대 라인 구축으로 OLED CAPA 확대
삼성디스플레이 $10.85 B (QD-OLED), 최대 $10.3 B 포괄 투자 QD-OLED TV 생산 및 R&D 인프라 확충
LG디스플레이 $0.92 B (1.26조 원) 차세대 OLED(IT OLED, 4-stack 등) 인프라 투자

 

 

회사별 시사점

1, 삼성디스플레이의 투자 규모가 가장 크며,

이는 QD-OLED TV 시대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적 대규모 자본 투입입니다.

 

2, BOE 역시 공격적 투자를 진행 중으로,

특히 Chengdu 라인이 IT용 OLED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강화할 핵심 인프라입니다.

 

3, LG디스플레이는 상대적으로 보수적,

하지만 OLED 전환 이후 처음으로 대규모 투자를 실행함으로써 차별화된 기술 제품(IT용 OLED, 파주 라인 중심)으로 진행 중입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