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報勳)및 국가보훈(國家報勳).

반응형
반응형

보훈과 예우와 충성심 

국가를 위해서 한 몸 바친 분들에 대한 보훈(報勳)및 국가보훈(國家報勳). 

보훈(報勳)은 사전적으로 간단히 말하면 공훈(功勳)에 보답(報答)하는 것입니다.

어떤 일이든지 그 일의 결과에 대한 감사의 표시를 반드시 함으로써 개인 또는 단체나 조직이나 국가를 신뢰하게 되며 그 위상이 정립되고 나라 사랑하는 마음과 연결될 것입니다.

국가가 보훈대상자를 충분히 대우한다면 국가의 부름에 국민은 기꺼이 동참할 것이며 마음 놓고 국가를 위해서 헌신하게 될 것입니다. 

반면 국가보훈의 대상자가 처우에 불만이 생겨서 국가를 원망한다면 그 국민은 미래에 국가를 위해서 헌신하지 않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국가보훈(國家報勳)은 철저하게 그 대상을 파악해서 국가나 사회가 그 대상자를 기억하게 하고 응당한 보답(報答)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국가(國家) 유공자(有功者)와 그 유족에 대(對)하여 합당한 예의(禮儀)를 갖추고 정신적 물질적 보상(補償)을 하고 있는 것이며 법으로 자세히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공부하는 마음으로 아래에서 알아봅니다.

보훈(報勳)의 우선순위를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수 있지만 국가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하며 국민은 보훈 대상자 분들을 항상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보훈(報勳)및 국가보훈(國家報勳).
보훈(報勳)및 국가보훈(國家報勳).

-아래-


우리나라는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돼있으며 그 법 제2조(예우의 기본이념)는 아래와 같습니다.

제2조(예우의 기본이념) 대한민국의 오늘은 온 국민의 애국정신을 바탕으로 전몰군경(戰歿軍警)과 전상군경(戰傷軍警)을 비롯한 국가유공자의 희생과 공헌 위에 이룩된 것이므로 이러한 희생과 공헌이 우리와 우리의 자손들에게 숭고한 애국정신의 귀감(龜鑑)으로서 항구적으로 존중되고, 그 희생과 공헌의 정도에 상응하여 국가유공자와 그 유족의 영예(榮譽)로운 생활이 유지·보장되도록 실질적인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문개정 2008.3.28.]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일은 전쟁터에서 망설이지 않고 용감하게 싸우다가 전사한 경우를 살펴보면 오랜 과거의 신라의 화라도 가 용감하게 싸운 경우도 그가 전사 하더라도 큰 명예를 얻고 그 가족들이 존경받게 된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실제로 신라는 그 유족들에게 명예와 물질적 정신적 보상을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유공자 자신과 그 유족은 등급을 정해서 연금, 생활 조정수당, 간호수당, 보철구 수당, 사망일시금 등을 지급하고 잇습니다.

세밀하게는 학자금 지원, 취업알선, 의료비 보조, 농지나 주택구입자금의 원활한 대부, 생활안정자금  대부 등을 등급에 따라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국가유공자의 적용대상 목록

제4조(적용 대상 국가유공자)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국가유공자, 그 유족 또는 가족(다른 법률에서 이 법에 규정된 예우 등을 받도록 규정된 사람을 포함한다)은 이 법에 따른 예우를 받는다.  <개정 2015.12.22.>


1. 순국선열: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제4조제1호에 따른 순국선열
2. 애국지사: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제4조제2호에 따른 애국지사
3. 전몰군경(戰歿軍警): 군인이나 경찰공무원으로서 전투 또는 이에 준하는 직무수행 중 사망한 사람(군무원으로서 1959년 12월 31일 이전에 전투 또는 이에 준하는 직무수행 중 사망한 사람을 포함한다)

4. 전상군경(戰傷軍警): 군인이나 경찰공무원으로서 전투 또는 이에 준하는 직무수행 중 상이를 입고 전역(퇴역·면역 또는 상근예비역 소집해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하거나 퇴직(면직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한 사람(군무원으로서 1959년 12월 31일 이전에 전투 또는 이에 준하는 직무수행 중 상이를 입고 퇴직한 사람을 포함한다)으로서 그 상이정도가 국가보훈처장이 실시하는 신체검사에서 제6조의4에 따른 상이등급(이하 "상이등급"이라 한다)으로 판정된 사람

5. 순직군경(殉職軍警): 군인이나 경찰·소방 공무원으로서 국가의 수호·안전보장 또는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중 사망한 사람(질병으로 사망한 사람을 포함한다)

6. 공상군경(公傷軍警): 군인이나 경찰·소방 공무원으로서 국가의 수호·안전보장 또는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중 상이(질병을 포함한다)를 입고 전역하거나 퇴직한 사람으로서 그 상이정도가 국가보훈처장이 실시하는 신체검사에서 상이등급으로 판정된 사람


7. 무공수훈자(武功受勳者): 무공훈장(武功勳章)을 받은 사람. 다만, 「국가공무원법」 제2조 및 「지방공무원법」 제2조에 따른 공무원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일상적으로 공무에 종사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원이 무공훈장을 받은 경우에는 전역하거나 퇴직한 사람만 해당한다.


8. 보국수훈자(保國受勳者):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가. 군인으로서 보국훈장을 받고 전역한 사람
나. 군인 외의 사람으로서 간첩체포, 무기개발 및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이하 "간첩체포등의 사유"라 한다)로 보국훈장을 받은 사람. 다만, 「국가공무원법」 제2조 및 「지방공무원법」 제2조에 따른 공무원(군인은 제외한다)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일상적으로 공무에 종사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원이 간첩체포등의 사유로 보국훈장을 받은 경우에는 퇴직한 사람만 해당한다.
9. 6·25참전 재일학도의용군인(在日學徒義勇軍人)(이하 "재일학도의용군인"이라 한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일본에 거주하던 사람으로서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일까지의 사이에 국군이나 유엔군에 지원 입대하여 6·25전쟁에 참전하고 제대한 사람(파면된 사람이나 형을 선고받고 제대된 사람은 제외한다)

10. 참전유공자: 「참전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해당하는 사람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가. 「참전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라 등록된 사람
나. 「고엽제후유의증 등 환자지원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제4조 또는 제7조에 따라 등록된 사람
11. 4·19혁명사망자: 1960년 4월 19일을 전후한 혁명에 참가하여 사망한 사람
12. 4·19혁명부상자: 1960년 4월 19일을 전후한 혁명에 참가하여 상이를 입은 사람으로서 그 상이정도가 국가보훈처장이 실시하는 신체검사에서 상이등급으로 판정된 사람

13. 4·19혁명공로자: 1960년 4월 19일을 전후한 혁명에 참가한 사람 중 제11호와 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사람으로서 건국포장(建國褒章)을 받은 사람

14. 순직공무원: 「국가공무원법」 제2조 및 「지방공무원법」 제2조에 따른 공무원(군인과 경찰공무원은 제외한다)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일상적으로 공무에 종사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원으로서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중 사망한 사람(질병으로 사망한 사람을 포함한다)


15. 공상공무원: 「국가공무원법」 제2조 및 「지방공무원법」 제2조에 따른 공무원(군인과 경찰공무원은 제외한다)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일상적으로 공무에 종사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원으로서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중 상이(질병을 포함한다)를 입고 퇴직한 사람으로서 그 상이정도가 국가보훈처장이 실시하는 신체검사에서 상이등급으로 판정된 사람


16. 국가사회발전 특별공로순직자(이하 "특별공로순직자"라 한다): 국가사회발전에 현저한 공이 있는 사람 중 그 공로와 관련되어 순직한 사람으로서 국무회의에서 이 법의 적용 대상자로 의결된 사람


17. 국가사회발전 특별공로상이자(이하 "특별공로상이자"라 한다): 국가사회발전에 현저한 공이 있는 사람 중 그 공로와 관련되어 상이를 입은 사람으로서 그 상이정도가 국가보훈처장이 실시하는 신체검사에서 상이등급으로 판정되어 국무회의에서 이 법의 적용 대상자로 의결된 사람

18. 국가사회발전 특별공로자(이하 "특별공로자"라 한다): 국가사회발전에 현저한 공이 있는 사람 중 제16호와 제17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사람으로서 국무회의에서 이 법의 적용 대상자로 의결된 사람


② 제1항제3호부터 제6호까지, 제14호 및 제15호에 따른 국가유공자의 요건에 해당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범위는 다음 각 호의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1. 전투 또는 이에 준하는 직무수행의 범위
2.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과 국가의 수호·안전보장 또는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와의 관련 정도
3. 사망하거나 상이(질병을 포함한다)를 입게 된 경위 및 본인 과실의 유무와 정도
③ 제1항에도 불구하고 제1항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순국선열·애국지사의 예우에 관하여는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다.
④ 제1항에도 불구하고 제1항제10호가목에 해당하는 사람의 예우에 관하여는 「참전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다.  <개정 2015.12.22.>
⑤ 제1항에도 불구하고 제1항제10호나목에 해당하는 사람의 지원에 관하여는 「고엽제후유의증 등 환자지원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다.  <개정 2015.12.22.>
⑥ 제1항제3호부터 제6호까지, 제14호 또는 제15호에 따른 요건에 해당되는 사람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원인으로 사망하거나 상이(질병을 포함한다)를 입으면 제1항 및 제6조에 따라 등록되는 국가유공자, 그 유족 또는 가족에서 제외한다.

1. 불가피한 사유 없이 본인의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것이거나 관련 법령 또는 소속 상관의 명령을 현저히 위반하여 발생한 경우
2. 공무를 이탈한 상태에서의 사고나 재해로 인한 경우
3. 장난·싸움 등 직무수행으로 볼 수 없는 사적(私的)인 행위가 원인이 된 경우
[전문개정 2011.9.15.]

매년 6월이면 순국선열들의 발자취를 찾아보면서 생각해 보는 보훈의 의미입니다.

6월 호국 보훈의 달에 즈음해서

 

6월 호국 보훈의 달에 즈음해서

세월이 가고 또 가고 그 무덥던 6월이 올해도 말없이 칮아 왔습니다. 그때 그 6월은 일찍이 겪어보지 못한 우리의 처절한 울부짖음과 혼돈의 아우성이었고 피로 물든 국토였습니다. 우리는 정신

omnislog.com

의식곡 6.25 노래 가사

 

의식곡 6.25 노래 가사

6.25 노래 가사 올해도 6.25가 다가옵니다. 워낙 가끔 부르는 노래라서 가사가 잘 떠오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찾아서 불러보며 공유하려 블로그에 올립니다. 필자가 학생 시절에 이 노래를 행사

omnislog.com

 


독도(獨島)자료 - 대한제국 칙령과 시마네현 고시

 

독도(獨島)자료 - 대한제국 칙령과 시마네현 고시

자료로 밝히는 우리 땅 독도(獨島) 무단 복사 불허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독도(獨島). 시마네현(島根縣)고시 40호가 엉터리이며 이를 근거로 주장하는데 대한 반박 자료입니다

omnislog.com

 

그때 그곳으로 떠나는 여행

 

그때 그곳으로 떠나는 여행

언젠가 살았던 곳처럼 느껴지는 그 곳을 거닐며... 아련히 떠 오르는 오래된 기억속의 어느 한 장소에 온 느낌으로 걷습니다. 조선시대의 한 장소라는 느낌으로 좀더 진지해 보려고 노력하며 마

omnislog.com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