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구부정(不拘不淨)

불구부정(不拘不淨)



반응형

"불구부정(不拘不淨)"은 한자어이며, 불교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뜻과 용례등을 공부하는 자세로 살펴 봅니다.

불구부정(不拘不淨)의 문자적 뜻

한자 의미
不 (아닐 불) 아니다, 하지 않는다
拘 (잡을 구) 집착하다, 구속하다
不 (아닐 불) 다시 "아니다"
淨 (깨끗할 정) 깨끗함, 청정함

직역하면 "구애받지 않고, 깨끗함에 집착하지 않는다"입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청정(淸淨)과 부정(不淨) 모두를 초월한 상태", 즉 선악이나 청탁(淸濁)을 가리지 않는 마음가짐을 뜻합니다.



🧘‍♀️ 불교적 의미


집착하지 않는 수행자의 자세를 말한다고 봅니다.
음식이 깨끗하냐, 더럽냐 / 말이 고우냐 거치냐 / 장소가 좋으냐 나쁘냐를 선악이나 청정 또는 부정으로 이원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마음 상태를 일컽는 것입니다.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되, 그것에 얽매이지 않는 해탈의 태도입니다.

불교 경전에서의 용례 예시
“깨끗한 것도 더러운 것도 모두 허상이다.
깨끗함에 집착하면 그것 또한 번뇌이니,
불구부정의 마음으로 모든 법을 평등히 보라.”
(의역)

쉽게 비유해 보면…
참 애매한 말같으나 물에 때가 끼었다고 화내지도 않고, 깨끗하다고 우쭐해하지도 않는 마음.
세상의 좋고 나쁨, 깨끗함과 더러움을 평등한 눈으로 보고, 그것에 마음을 빼앗기지 않는 것? 인가?

 

 

불구부정(不拘不淨)과 뜻
불구부정(不拘不淨)과 뜻


✅ 관련있는 불교적 개념 문자


불이(不二): 모든 것은 둘이 아니다 → 깨끗/더럽음도 둘이 아님
무분별심(無分別心): 선악, 좋고 나쁨을 분별하지 않는 마음
중도(中道):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길

대충 요약을 해 본다면
불구부정(不拘不淨)이란,
깨끗함에도 집착하지 않고, 더러움에도 혐오하지 않는
초연하고 해탈한 마음 상태를 의미한다고 봅ㅂ니다.


불구부정(不拘不淨) 예문

불구부정(不拘不淨)의 의미를 잘 드러내는 예문들을 살펴봅니다. 

✅ 일상에서 활용하는 예문


그는 불구부정의 태도로, 깨끗한 음식이든 허름한 음식이든 가리지 않고 감사히 먹었다.
불구부정한 삶이란, 겉모습에 치우치지 않고 본질을 꿰뚫는 태도를 말한다.
여행 중 불편한 숙소에 불평하기보다는, 불구부정의 마음으로 그 순간을 즐겼다.

✅ 불교적 맥락의 예문


수행자는 불구부정의 지혜를 가지고, 모든 존재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깨끗함을 쫓는 것도 번뇌요, 더러움을 멀리하는 것도 집착이다. 불구부정이 곧 해탈의 길이다.
부처님은 맑고 더러움을 따지지 않고, 누구에게나 법을 설하셨다. 이것이 불구부정의 자비다.

✅ 고어체/한문체 느낌 예문


청정과 부정을 가리어 이로움이 없음이라, 진리는 본래 불구부정(不拘不淨)이니라.
도는 청탁(淸濁)을 넘는 것, 그 참모습은 불구부정에 있도다.

✅ 영어 예문 번역 (참고용)


A true practitioner sees no difference between pure and impure — this is the essence of “bukubu-jeong”, non-attachment to cleanliness or filth.


불교 경전 속 원문

불교 경전에서 불구부정(不拘不淨)이라는 표현은 직접적 언급보다는 유사한 개념으로 등장합니다. 이 개념은 주로 선악, 청탁(깨끗함과 더러움), 미추(아름다움과 추함) 등의 이분법적 판단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가르침과 연결된다고 봅니다. 아래는 그런 맥락을 반영한 대표적인 경전 원문과 현대적 해석입니다.

1. 유마경(維摩經) 중에서


不淨觀者,亦觀一切法皆不淨。不淨亦不淨,淨亦不淨,是則遠離二相。
— 유마경 문수사리법문품

번역:
"부정(不淨)을 관하는 자는 모든 법이 부정하다고 본다.
그러나 부정도 부정이 아니고, 청정도 청정이 아니니,
이것이 곧 둘의 상대(二相)를 떠난 것이라."

☑️ 여기서 ‘청정’과 ‘부정’을 초월하라는 의미로, 불구부정과 같은 맥락의 가르침입니다.

2.금강경(金剛經) 중에서


「應無所住而生其心」
— 금강경 제6품

번역:
"어디에도 머물지 말고 그 마음을 일으켜라."

☑️ 청정이나 부정 어느 하나에도 집착하지 않는 수행자적 태도, 즉 불구부정(不拘不淨)의 실천적 표현입니다.

3.능엄경(楞嚴經) 중에서


「善惡二相,俱非真實。」

번역:
"선(善)과 악(惡)의 두 모습은 모두 진실이 아니다."

☑️ 청정과 부정도, 선과 악도 **모두 공(空)**이라는 불교의 중도 사상을 보여주며, 불구부정을 뒷받침하는 구절입니다.

핵심 해석 요약과 개념적인 의미


불구부정(不拘不淨) :청정에도 집착하지 않고, 부정에도 물들지 않음
불이상(不二相): 선/악, 청정/부정은 모두 본래 둘이 아닌 것
중도(中道):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도리

 

유마경/금강경 해당 구절 전체나, 원문 출처 페이지 링크

아래는 유마경과 금강경에서 불구부정(不拘不淨)이라는 개념과 직접 관련된, 또는 매우 유사한 문장들입니다. 불교 수행의 핵심 가르침을 담고 있어 누구나 학습 자료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유마경 – 청정과 부정 초월 관련 구절

 

原文 (중국어):
不淨觀者,亦觀一切法皆不淨。不淨亦不淨,淨亦不淨,是則遠離二相。
— 《維摩詰經》 「文殊師利法門品」

해석:
“부정(不淨)을 관하는 이는 모든 법이 부정하다고 본다.
그러나 부정도 부정이 아니고, 청정도 청정이 아니니,
이것이 곧 둘의 상대(이원성)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百度百科   guoxue123.com 漢文大藏經
이는 청정과 부정 구분을 초월하는 불구부정의 가르침입니다.

 

금강경 – “應無所住而生其心”


原文 (중국어):

是故須菩提,諸菩薩摩訶薩應如是生清淨心,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應無所住而生其心。
— 《金剛般若波羅蜜經》 제10장 “莊嚴淨土分” 
guoxue123.com+14 book.bfnn.org +14
大乘佛教-佛經報恩網

 

영어로 번역 예시:



“Therefore, Subhuti, Bodhisattvas should thus generate a pure mind,
not be attached to form, sound, smell, taste, touch, or dharmas;
they should abide nowhere, and give rise to their mind.” 
blog.udn.com

이는 청정·부정·상(相)에 집착하지 않는 마음, 즉 집착하지 않고 깨끗함에도 집착하지 않는 불구부정의 마음 상태를 말합니다.


다음은 유마경(維摩經)과 금강경(金剛經)속에서 불구부정(不拘不淨)의 사상을 담은 구절에 대한 원문 + 번역 + 해설을 첨부합니다. 



1.유마경(維摩詰經) 중에서

 

원문
不淨觀者,亦觀一切法皆不淨。不淨亦不淨,淨亦不淨,是則遠離二相。
— 《維摩詰經》 「文殊師利法門品」

번역
부정을 관하는 이는 또한 모든 법이 부정하다고 본다.
그러나 부정도 부정이 아니고, 청정도 청정이 아니니,
이것이 곧 청정과 부정, 둘의 상(相)에서 벗어난 것이다.

해설
이 구절은 우리가 보통 ‘더럽다’, ‘깨끗하다’라고 느끼는 것들이 본질적으로는 공(空)이며, 그러한 이분법적 분별 자체가 집착이라는 점을 말해줍니다.
부정도 부정이 아니고, 청정도 청정이 아니다란 말은, 이 두 가지 개념조차도 집착하면 번뇌가 된다는 것입니다.

즉, 불구부정(不拘不淨) —깨끗함에 구속되지 않고, 더러움에 싫어하지 않는 무차별의 평등심(平等心)이 수행자에게 필요하다는 가르침입니다.

2. 금강경(金剛經) 중에서

 

원문
應無所住而生其心
— 《金剛般若波羅蜜經》 第10分「莊嚴淨土分」

번역
마땅히 어디에도 머무르지 말고, 그 마음을 내야 한다.

해설
이 유명한 문장은 “집착하지 말고, 마음을 일으켜라”는 금강경의 핵심입니다.
여기서 “소주(所住)”는 의지하는 것, 머무는 곳, 집착하는 대상을 말합니다.
즉, 마음이 색(色)이나 소리(聲), 향(香), 맛(味), 감촉(觸), 법(法) 등에 머물러선 안 되고, 어떤 것도 청정(깨끗함)하거나 불정(더러움)하다고 여겨 머물지 말라는 뜻입니다.

이 역시 불구부정, 곧 깨끗한 것도 더러운 것도 집착하지 않고, 본질적으로 공(空)임을 인식하라는 가르침입니다.

 

구절 핵심 개념 요약 정리


유마경 – 不淨亦不淨,淨亦不淨 불구부정 깨끗함과 더러움 모두 허상이며, 둘 다 집착하지 말아야 함
금강경 – 應無所住而生其心 무집착, 중도 어떤 대상에도 머무르지 말고, 집착 없는 마음을 낼 것

불구부정, 유마경, 금강경, 應無所住而生其心, 불이(不二), 공(空), 중도, 무분별지, 청정과 부정 초월

유마경과 금강경의 해당 구절을 영어로 번역 해 봅니다.

의미 전달을 극대화하기 위해 문어체 번역과 현대적 해설 포함 번역 두 가지 스타일로 합니다.

번역은 AI와 구글 번역등으로 확인합니다.

1. Vimalakirti Sutra (유마경)
원문
不淨觀者,亦觀一切法皆不淨。不淨亦不淨,淨亦不淨,是則遠離二相。

Literal Translation (문어체 번역):

 

One who contemplates impurity sees all dharmas as impure.
Yet impurity is not truly impure, and purity is not truly pure.
Thus, one transcends the duality of purity and impurity.

Interpretative Translation (해설 포함 현대적 번역):

 

Those who practice meditation on impurity perceive all things as impure.
But impurity itself is not inherently impure, and purity is not inherently pure.
By realizing this, one frees the mind from attachment to both ends and transcends dualistic thinking.

2.Diamond Sutra (금강경)

 

원문
應無所住而生其心

Literal Translation:
One should generate the mind that does not abide anywhere.

Interpretative Translation:
Cultivate a mind that clings to nothing —
not to form, sound, smell, taste, touch, or mental objects.
Let your awareness arise freely, unattached to any phenomena.

Summary in English
Both sutras emphasize the idea of non-attachment and transcendence of duality:
Purity and impurity are mental constructs. A true practitioner sees beyond them.
The awakened mind is not fixated on appearances, judgments, or categories — it rests nowhere, and thus is free.

If you’d like, I can also provide:
Simplified English for younger or general audiences
Card-style infographic English captions
Matching Buddhist philosophical terms in Sanskrit or Pali


#應無所住而生其心 #VimalakirtiSutra #DiamondSutra 

 

불구부정(不拘不淨)과 뜻
불구부정(不拘不淨)과 뜻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