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레나물,금사도(金絲桃)Hypericum ascyron
- 건강정보/자생약초-건강정보
- 2025. 7. 17. 10:31
물레나물: 꽃말, 효능, 동의보감 속 약용 정보
물레나물(학명: Hypericum ascyron)은 여름이면 노란 꽃을 피우는 다년생 야생화로, ‘금사도(金絲桃)’라는 이름으로 동의보감에도 기록된 전통 약용 식물입니다. 오늘은 물레나물의 생태, 효능, 전통 한의학적 가치를 살펴보겠습니다.
밝은 꽃과 함께 깊은 약성을 지닌 물레나물은 조경 식물로도, 민간요법에서도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식물입니다. 야생에서 만나는것은 주로 여름 산행때나 야생화 찍는 분들일 것입니다.
물레나물,금사도(金絲桃)기본 개요
학명: Hypericum ascyron
한자명: 金絲桃 (금사도)
분류: 물레나물과 (Hypericaceae)
생육형: 다년생 초본식물
물레나물,금사도(金絲桃) 원산지와 분포지역
물레나물은 한국 전역</의 들판, 습지, 산기슭 등에서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도 발견됩니다.
🌼물레나물,금사도(金絲桃) 꽃말
기쁨, 희망, 빛을 좇는 마음이라는 의미를 지니며, 노란 꽃잎은 태양을 닮은 밝고 긍정적인 느낌을 줍니다.
물레나물,금사도(金絲桃) 약용 부위 및 주요 성분
사용 부위: 전초(지상부 전체), 뿌리
주요 성분: 하이퍼포린, 하이퍼시신, 플라보노이드, 타닌
💊물레나물,금사도(金絲桃) 효능
- 항염, 항균 작용
- 지혈 및 상처 치유
- 진정, 해열, 이뇨 효과
- 타박상, 부스럼, 종기 완화
📖 물레나물,금사도(金絲桃)동의보감 언급 내용
동의보감에서는 물레나물을 “금사도(金絲桃)”라 칭하며, “열을 내리고, 상처에 붙이면 고름을 삭이고 종기를 다스린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주로 외용으로 사용되며, 지혈·항염·상처치료 약재로 활용됩니다.
물레나물에 대한 동의보감 원문과 해석.
동의보감 원문 (탕액편 초본류 中) 水連草(수련초)
性寒味甘。無毒。治熱毒瘡腫,癰疽,瘰癧,癲疾,破血行瘀。
물레나물(水連草) 현대어 해석
성질은 차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열독으로 인한 부스럼과 종기, 옹저(악성 종기), 나력(임파선 결핵), 간질, 어혈을 없애고 혈액 순환을 좋게 한다.
물레나물(水連草) 추가 설명
여기서 "水連草"는 일반적으로 물레나물 또는 비슷한 수생 약용식물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됩니다.
물레나물은 실제로 민간에서는 종기나 염증, 피부 질환 치료에 활용되어 왔습니다.
현대에는 항염 작용, 해열 작용, 어혈 제거, 간질 증상 완화 등으로 응용된 기록이 있습니다.
🔍 참고 사항
- 서양종 Hypericum perforatum (세인트존스워트)와 구분 필요
- 자연형 조경, 습지 복원 등에도 활용 가능
#물레나물 #금사도 #약용식물 #꽃말기쁨 #동의보감내용 #상처치료 #한방약초 #지혈작용 #항염약초
늦여름 야생화 칡꽃,갈화(葛花)
늦여름 피는 야생화 칡꽃(갈화葛花)과 칡 늦여름 또는 초가을 산행을 할 때 바람 타고 오는 은은하고 상큼한 향기를 느끼면서 숲길을 걷다 보면 근처에 칡덩굴이 왕성하여 칡꽃이 많이 피어있는
omnislog.com
측백나무 열매(柏子仁)
기억력 증진과 탈모 예방에 좋은 측백나무 열매 (柏子仁) 자연이 선물한 다양한 약용 식물 중에서도 흔히 보는 측백나무 열매는 예로부터 귀한 한약재로 쓰여 왔습니다. 측백나무 열매는 柏子
omnislog.com
진 보라색 봄꽃 반디지치-지선도(地仙桃)
설연화(雪蓮花)-복수초(福壽草) 꽃이 새봄을 알립니다. 금정산 설연화(雪蓮花) 복수초(福壽草)가 피었습니다. 설날에 피는 꽃이라는 뜻으로 원일초(元日草)인 이 예쁜 꽃은 눈 덮인 깊은 산속에
omnislog.com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