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광물과 그 대응 Strategic Minerals
- 국제-이슈-뉴스
- 2025. 8. 7. 20:51
전략광물(Strategic Minerals) 종류, 한국의 생산 품목, 그리고 자원 안보
전기차, 반도체, 스마트폰, 풍력 발전기, 심지어 군사 무기까지—오늘날 우리의 일상과 산업은 눈에 보이지 않는 '광물'에 깊이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전략광물(Strategic Minerals)은 기술과 안보의 핵심이 되는 자원으로, 전 세계가 확보 경쟁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략광물의 정의부터 주요 광물의 종류, 한국의 생산 가능 품목, 그리고 공급망 안정화 전략까지 한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국내 독자를 대상으로 전략광물에 대한 이해를 돕는 정보형 포스트 형식이며,정보 전달과 함께 정책적 맥락과 한국 현실을 짚어보는 기회라는 생각을 하게됩니다.
전략광물이란?
전략광물은 산업·경제·군사 분야에서 필수적인 광물로, 다음의 특징을 가집니다.
- 산업·군사적으로 활용도가 높고
- 매장 지역이 한정되어 있으며
- 대체재가 거의 없고
- 공급이 지정학적·정치적 변수에 민감한 자원
즉, 특정 국가나 기업이 독점하거나 공급이 끊기면 산업 전체가 흔들릴 수 있는 광물입니다.
그래서 각국은 전략광물 확보를 국가 안보의 일부로 보고 있죠.
주요 전략광물 종류와 용도
전략광물은 분야마다 다양하지만, 세계적으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광물들이 있습니다.
희토류 (Rare Earth) | 전기차 모터, 풍력터빈, 반도체, 군사 장비 |
리튬 (Li) | 2차전지(배터리), 전기차 |
코발트 (Co) | 배터리, 항공기 엔진, 군수 산업 |
니켈 (Ni) | 배터리, 스테인리스강 |
망간 (Mn) | 철강 제조, 배터리 |
텅스텐 (W) | 절삭 공구, 군수품, 전자 부품 |
몰리브덴 (Mo) | 합금강, 석유화학 촉매 |
갈륨 (Ga) | 반도체, LED, 통신 장비 |
인듐 (In) | 디스플레이, 태양광 패널 |
플루오르스파 | 알루미늄 제련, 불소화학 |
안티몬 (Sb) | 난연재료, 배터리, 반도체 |
이 외에도 크롬, 바나듐, 베릴륨 등도 전략광물로 분류됩니다.
🇰🇷 한국의 전략광물 관리 체계
한국은 대부분의 전략광물을 해외에서 90% 이상 수입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략광물을 "국가핵심광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 2023년 기준 33종 지정
- 대부분 수입 의존도 95% 이상
- 2024년 개편안 예고:
- 초전략광물: 리튬, 코발트, 니켈, 희토류
- 핵심광물: 갈륨, 인듐 등 첨단산업용
- 산업기초광물: 석회석, 규사 등 범용 자원
한국에서 생산 가능한 전략광물
한국은 지질 구조상 광물 자원이 풍부하지는 않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전략광물 생산이 가능하거나, 복원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텅스텐 (W) | 강원도 상동광산 | 과거 세계 5대 광산, 복원 추진 중 |
몰리브덴 (Mo) | 상동광산 부생광 | 텅스텐과 함께 존재 |
플루오르스파 | 충북 단양 | 소규모 생산 중 |
인듐 (In) | 일부 아연광산 부산물 | 회수 가능성 있음 |
희토류 | 전북 익산, 충북 단양 | 탐사 단계 |
해저망간단괴 | 남태평양 심해 | 확보 시도 중 (심해광물 탐사선 운영) |
🔧 한국의 전략광물 확보 전략
한국은 전략광물의 해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공급망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해외 자원개발
- 정부·기업이 합작 투자해 해외 광산 확보
- 예: 호주, 칠레, 인도네시아, 아프리카 등
2. 재활용·재자원화
- 폐배터리, 전자제품 슬러지 등에서 희유금속 회수
- 기술 개발 및 국내 회수 시스템 강화
3. 국가 비축 확대
- 전략광물 비축 목표치 상향 (60일 이상)
- 긴급 상황 대비용
4. 공급망 동맹
- 미국, 호주, EU 등과 협력 (예: IPEF, MCM 참여)
-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노력
한국의 전략광물 수입 의존도 (2024년 기준)
희토류 | 100% | 중국 |
리튬 | 100% | 칠레, 호주 |
코발트 | 100% | 콩고, 중국 |
텅스텐 | 95% 이상 | 중국 |
니켈 | 90% 이상 | 인도네시아, 필리핀 |
📌 마무리
지금까지 전략광물의 정의부터 주요 광물 종류, 한국의 생산 가능성과 전략까지 알아보면서:.
✔ 전략광물은 첨단 기술과 국가 안보를 지탱하는 자원입니다.
✔ 한국은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지만, 국내 자원 복원과 공급망 다변화 전략을 적극 추진 중입니다.
앞으로 자원을 가진 나라가 아닌 "자원을 확보할 전략이 있는 나라"가 경쟁력을 가질 것입니다.
한국도 늦지 않게, 이 흐름에 적극적으로 올라타리라고 봅니다.
그린란드(Greenland)국가 정보
그린란드(Greenland) (북한: 그뢴란, 그린란드어: Kalaallit Nunaat 칼랄리트 누나트, 덴마크어: Grønland '그뢴란')입니다. 그린란드(Greenland)의 위치는 북아메리카 북동부이며 세계에서 가장 큰 섬입니다
omnislog.com
현무-5 괴물 탄도 미사일.
현무-5, 이 놀라운 괴물 미사일로 한국의 강력한 미사일 시대를 열 것입니다.베일에 가려졌던 현무-5가 이번 제76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 그 위용을 드러낸 것입니다 일단 현무(玄武) 라는 명
omnislog.com
스쿼드(S-QUAD) 알아 보기
스쿼드(S-QUAD) 개요 의미와 기원: 스쿼드(S-QUAD)는 미국, 일본, 호주, 필리핀 4개국 안보 협의체로, 쿼드(QUAD)에 필리핀이 참여하여 2024년 공식 출범하였습니다. 시작은 쿼드(QUAD)이며 미국, 일본,
omnislog.com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