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들마편초 Willow dandelion flowers
- 사진-영상-카메라/식물-꽃-약초
- 2025. 8. 16. 21:28
“버들마편초”는 흔히 한약재와 민간요법에 자주 등장하는 약초이기도 합니다.
✅ 정리하면, 버들마편초는 마디풀과의 약초로, 지혈·해독·항염 효과가 뛰어나고 『동의보감』에도 기록된 중요한 약재입니다. 이름은 버들잎과 말채찍 모양에서 유래했으며, 민간에서는 상처 치료와 해충 퇴치에 널리 쓰였지요.
학명: Polygonum hydropiper L. Verbena bonariensis
영문명: Water pepper, Smartweed, Marshpepper knotweed
국명: 버들마편초(학술적으로는 흔히 ‘여뀌’, ‘여뀌풀’, ‘버들개여뀌’ 등과도 연관)
분류: 마디풀과 (Polygonaceae)
식물계(Plantae)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쌍떡잎식물군(Eudicots)
국화군(Asterids)
꿀풀목(Lamiales)
마편초과(Verbenaceae)
마편초 속(Verbena)
버들마편초(V. bonariensis)
버들마편초(Polygonum hydropiper L.)는 지역이나 문헌에 따라 여러 이명(異名)으로 불려 왔습니다.
여뀌 (한국에서 가장 흔한 이름)
여뀌풀
여귀 (옛 문헌 표기)
버들개여뀌 (잎이 버들잎처럼 길고 가늘어서)
수여뀌(水蓼) – 물가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붙은 이름
독여뀌 – 톡 쏘는 매운맛이 강하고 독성이 있어 붙은 이름
마편초(馬鞭草) – 말채찍(馬鞭) 같은 모양에서 유래 (한약명)
수마편초(水馬鞭草) – 물가에 나는 마편초라는 뜻
영문명: Water pepper, Smartweed, Marshpepper knotweed
📌 정리하면, 버들마편초 = 여뀌 = 수여뀌 = 마편초 등으로 불리며, 주로 잎 모양(버들), 서식지(물가), 맛과 약성(독·매운맛), 모양(말채찍)에 따라 이름이 달라졌습니다.
원산지: 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 등)
분포지역: 한국 전역의 습지, 논두렁, 하천 주변, 습한 풀밭 등지에 자생. 유럽과 북미에도 귀화하여 분포.
개화시기: 7월 ~ 9월
꽃 색: 연한 홍색 또는 흰색 작은 이삭꽃 모양
꽃말: “끈기”, “인내” (작고 소박하지만 강인하게 자라는 생명력에서 유래)
주요 성분: 플라보노이드(루틴, 퀘르세틴), 탄닌, 정유, 폴리곤산(polygonic acid), 알칼로이드 등
효능:
해열, 해독 작용
지혈 작용 (출혈성 질환, 코피, 상처 지혈)
항염, 항균 작용
소염 진통 (종기, 피부질환)
위장 질환 개선, 이뇨 촉진
부인과 질환(월경 과다, 산후 출혈) 치료에도 전통적으로 활용됨
동의보감 잡병 편 및 외형 편에 마편초(馬鞭草), 여뀌류 기록이 보입니다.
원문:“馬鞭草 性苦寒 無毒 治瘀血積聚 癰腫 腹痛 不得安臥 産後中風 口噤不開”
해석:마편초는 성질이 쓰고 차며, 독이 없다. 어혈이 뭉쳐 생긴 덩어리, 종기, 복통으로 누워있기 힘든 증세, 산후풍으로 인한 입이 굳어 벌리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즉, 해독·소염·어혈 제거 효능을 중시함.
“버들마편초”라는 이름은 잎이 가늘고 긴 모습이 버들잎을 닮았기 때문에 붙은 것.
마편초(馬鞭草)는 줄기 모양이 말채찍(馬鞭)을 닮은 데서 유래.
즉, 버들잎처럼 가늘고, 말채찍 같은 풀 → 버들마편초.
민간 신앙
예전에는 여뀌 잎을 집 주변에 두르면 뱀이나 해충이 가까이 오지 않는다고 믿어 부적처럼 사용.
전쟁과 약초
조선시대 전쟁터에서 군인들이 상처가 났을 때 즉석에서 여뀌(버들마편초)를 찧어 붙여 지혈제로 썼다는 기록이 있음.
일상적 이용
어린잎은 독성이 거의 없어 나물로도 먹었으나, 매운맛 때문에 흔히는 약용 위주로 사용.
#보라색꽃
꽃으로 보는 장구채-장고채(杖鼓菜)-Melandryum firmum
장구채-장고채(杖鼓菜)-Melandryum firmum 장구채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이며 자생화로 알려진 식물이며 한국, 일본, 동시베리아, 중국 등지에도 함께 분포하는 두해살이풀입니다. 올해는 계절이 빨리
omnislog.com
여름 풀 숲속의 예쁜 사진
노루오줌꽃,낙신부(落新婦) 갈등(葛藤)의 개념 꽃처럼 예쁜 겨울열매-사철나무 열매와 노박덩굴 열매. 꽃처럼 예쁜 사철나무 열매와 노박덩굴 겨울 열매항상 보던 길가의 사철나무가 겨울에 꽃
omnislog.com
노루오줌(Heuchera spp) 노루풀
산나물 같은 임산물 불법 채취 주의하세요. 청학동(淸鶴洞) 도인촌(道人村) 탐방기 곶감 말리는 예술적인 모습과 영양성분. 곶감 말리는 예술적인 모습과 그 영양 성분을 알아봅니다. 곶감 만드
omnislog.com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