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루오줌(Heuchera spp) 노루풀

노루오줌(Heuchera spp) 노루풀



반응형

여름 산행 때 그늘진 계곡 부근이나 나무아래에 피어오른 하얀색 또는 분홍색의 원추형 꽃대를 올린 노루오줌을 보곤 합니다. 노루오줌은 오랜 세월 한국 산지에서 자라온 자연이 준 약초이자 예쁜 여생화 들꽃입니다. 약용뿐 아니라 조경용으로도 각광받고 있으며, 우리 전통의학 속에서도 그 효능이 인정되어 전해져 내려오는 소중한 식물입니다.

 

노루오줌의 개요,원산지,분포지역,꽃말,용도,생물분류,약용성분 효능, 동의보감언급 내용, 동의보감원문까지 찾아서 공부하는 자세로 기록합니다.

 

노루오줌(Heuchera spp.) : 산의 정취를 담은 약용 야생화

노루오줌은 아름다운 잎사귀와 작은 꽃이 조화를 이루는 산야의 자생식물로, 관상용은 물론 예로부터 약용 식물로도 활용되어 왔습니다. 특유의 은은한 향기와 꽃의 생김새에서 '노루가 소변본 자리에 핀 꽃 같다' 하여 ‘노루오줌’이라는 독특한 이름이 붙었습니다.


원산지 및 분포 지역

노루오줌은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가 원산지입니다. 주로 해발 500~1,500m 정도의 산지 음지나 계곡 주변의 습윤한 곳에서 잘 자랍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산지에서 자생하며, 특히 강원도와 지리산 부근에 많이 분포하지만 전국의 산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노루오줌(Heuchera spp) 생물 분류

계: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목: 범의귀목

과: 범의귀과(Saxifragaceae)
속: 노루오줌 속(Heuchera)
종: 노루오줌

학명: Heuchera spp.

Astilbe rubra var. rubra
Hook.f. & Thomson, 1857
학명이명:Astilbe chinensis

노루오줌(Heuchera spp) 꽃말

노루오줌의 꽃말은

‘조용한 열정’입니다.

'기약 없는 사랑'입니다. 

화려하지 않지만 꾸준히 피어나는 그 모습이 산속에서 은은한 존재감을 드러내는 꽃답습니다.

노루오줌(Heuchera spp) 용도

노루오줌은 관상용, 약용, 토양 유지 식물로 다양하게 이용됩니다.
정원이나 암석원 조경에 사용
뿌리와 잎을 약재로 사용
습지 주변이나 경사지 토양 유실 방지에 식재

 

노루오줌(Heuchera spp) 약용 성분 및 효능

노루오줌의 뿌리에는 탄닌, 사포닌, 플라보노이드 계열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다음과 같은 약리작용이 보고되어 왔습니다.

지혈 작용: 상처에서 출혈이 있을 때 지혈제로 활용
소염 및 항균 작용: 피부 질환, 종기, 염증 등에 응용
설사와 이질 치료: 민간에서는 뿌리를 달여 복통과 이질 치료에 사용


동의보감 언급 내용 및 원문

동의보감에서는 노루오줌을 수렴성과 지혈 효과가 있는 약초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뿌리를 중심으로 활용하였으며, 주로 출혈성 질환이나 열독 해소에 쓰였습니다.

동의보감 탕액 편 초본류 中


鹿香草(노루향초)
性微寒, 味苦, 無毒. 主止血, 治瘡癰腫痛, 腸風下血, 熱毒, 腫痛。

현대어 해석

성질은 약간 차고, 맛은 쓰며, 독이 없다.
피를 멈추고, 종기와 부스럼, 통증을 치료하며, 장풍으로 인한 출혈과 열독으로 인한 종창을 치료한다.

노루오줌은 오랜 세월 한국 산지에서 자라온 자연이 준 약초이자 아름다운 들꽃입니다. 약용뿐 아니라 조경용으로도 각광받고 있으며, 우리 전통의학 속에서도 그 효능이 인정되어 전해져 내려오는 소중한 식물입니다.

 

 

참고로 노루오줌의 다른 이름을 알아봅니다.


금모삼칠(金毛三七): 노루오줌 뿌리의 한약재 이름 중 하나입. 
홍승마(紅升麻): 노루오줌의 다른 한약재 이름으로, 특히 '조선홍승마'는 우리나라 특산종임을 나타냅. 
호마(虎麻): 노루오줌의 또 다른 이름. 
홍두우(紅頭牛): 노루오줌을 지칭하는 이름 중 하나입. 
낙신부근(落新婦根): 노루오줌 뿌리를 의미하는 이름. 
저 아삼 칠(猪痾三七): 노루오줌 뿌리의 다른 이름. 
야승마(野升麻): 노루오줌 뿌리를 의미. 
음양호(陰陽虎): 노루오줌 뿌리의 또 다른 이름. 


큰 노루오줌, 왕노루오줌: 노루오줌의 종류 중 하나로, 크기가 큰 경우에 붙여지는 이름. 
노루풀: 일부 학자들이 노루오줌이라는 이름이 꽃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하여 부르는 이름. 

 

 

 

 

 

 

참당귀(Angelica gigas)꽃

참당귀(Angelica gigas). 참당귀는 좋은 나물이며 여름에 하얀꽃을 피운다. 참당귀(Angelica gigas)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한국과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한약재로서는 뿌리를 사용하

omnislog.com

 

 

산나물 같은 임산물 불법 채취 주의하세요.

청학동(淸鶴洞) 도인촌(道人村) 탐방기 곶감 말리는 예술적인 모습과 영양성분. 곶감 말리는 예술적인 모습과 그 영양 성분을 알아봅니다. 곶감 만드는 계절입니다. 기온이 서늘하고 청정 지역

omnislog.com

 

 

골담초(骨擔草).

 

omnislog.com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