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빈대,비단풀, Swallowwort

땅빈대,비단풀, Swallowwort



반응형

땅빈대, 비단풀, 토 빈대(吐貧大), 백미(白薇), Swallowwort

일명 ‘토빈대초(土貧大草) Swallowwort, Atratum Cynanchum.

약용식물 땅빈대 즉 비단풀의 이명, 영어이름, 식물정보, 원산지, 분포지역 자라는 곳, 약용성분 효능, 동의보감 언급내용 원문과 해석, 복용방법 등 이 식물의 놀라운 정보를 알아봅니다.

 

땅빈대(비단풀) 식물 정보

이름

  • 학명: Cynanchum atratum Bunge
  • 국명: 땅빈대
  • 이명(異名): 비단풀, 토빈대(吐貧大), 백미(白薇), 일명 ‘토빈대초(土貧大草)’
  • 영어명: Swallowwort, Atratum Cynanchum
  • 생물 분류
  • :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말피기목  대극과  대극아과  대극족  대극속  
    애기 땅빈대  
    학명: Euphorbia supina Raf. (1817)

식물 개요

  • 과(科):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현재는 Apocynaceae로 분류)
  • 형태: 다년생 초본(多年生 草本). 줄기는 곧게 서며 길게 자라고, 잎은 마주나며 달걀형. 여름에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 꽃이 핌.
  • 열매: 가늘고 긴 협과(열매가 갈라져 씨앗이 나옴).

원산지 · 분포

  • 원산지: 동아시아 (한국, 중국, 일본)
  • 분포지역: 한국 전역의 들판, 산기슭, 길가, 풀밭 등지.
  • 자라는 곳: 양지바른 풀밭, 산지 초원, 밭두렁 등에서 흔히 자람.

 

땅빈대, 비단풀 약용 성분 및 효능

  • 주요 성분: 사포닌(saponin), 알칼로이드(alkaloid), 글루코사이드, 플라보노이드 등
  • 효능 (한의학적)
    • 해열(열을 내림)
    • 해독(독소 제거)
    • 이뇨(소변 잘 나오게 함)
    • 거풍습(風濕 제거, 관절통·신경통 개선)
    • 소종(消腫: 부종·종기 가라앉힘)
    • 해혈(止血 작용, 혈변·토혈)

 

땅빈대,비단풀 동의보감 언급 내용

 

東醫寶鑑』 草部, 「白薇(=땅빈대)」 조에 다음과 같이 기록됨:

白薇 苦寒 無毒. 主治傷寒, 除熱, 中風, 四肢拘急, 骨節痛, 癰腫, 瘰癧, 小便不通, 婦人産後乳難.

 

해석:

백미(땅빈대)는 맛이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상한(傷寒: 외부 감염성 열병)을 치료하고 열을 내리며,

중풍으로 팔다리가 뻣뻣해지고 관절이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종기·부스럼·임파선 종창을 가라앉히고,

소변이 잘 안 나올 때 이뇨 작용을 돕는다.

부인들의 산후 젖이 잘 돌지 않는 증상에도 쓰인다.

 

땅빈대,비단풀 복용 방법

  • 약재 사용 부위: 뿌리(白薇根, 백미근)
  • 채취 시기: 가을에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 사용
  • 복용법:
    • 탕제: 뿌리 6~12g을 달여서 복용
    • 외용: 종기나 피부질환에는 달인 물로 세척
  • 주의사항:
    • 성질이 차므로 비위가 약하거나 설사 잦은 사람은 주의
    • 임산부는 전문 한의사 상담 후 사용 권장

 

👉 정리하면, 땅빈대(비단풀)는 한국 들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년생 풀로 동의보감에서는 "백미(白薇)"라 하여 해열·해독·이뇨·부인과 질환에 쓰였고, 뿌리를 주로 약재로 사용했습니다.

 

👍 땅빈대(비단풀, 백미 Cynanchum atratum)의 항암 효과는 한의학적 전통 효능과 현대 약리 연구 양쪽에서 다루어진 바가 있습니다. 

 

땅빈대(비단풀, 백미)의 항암 효과 연구

 

1. 땅빈대, 비단풀 전통적 기록

 

동의보감 등 고의서에서는 “열을 내리고 종기를 삭이며, 부종과 종양을 가라앉힌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瘰癧(루력, 임파선 종창), *癰腫(옹종, 종기와 종양)*은 오늘날의 암성 종괴·임파선 비대와 비슷한 질환군으로 볼 수 있어 전통적으로도 종양 억제 작용과 관련지어 사용되었습니다.

 

2. 땅빈대, 비단풀 현대 약리 연구 결과

최근 중국, 한국 등에서 땅빈대 추출물의 항암·항종양 효과를 실험적으로 보고했습니다.

  • 사포닌(Saponin) 및 플라보노이드
    • 세포주 연구에서 종양세포 증식 억제, 세포사멸(apoptosis) 유도 작용이 확인됨.
    • 일부 연구에서는 간암(HepG2), 위암, 폐암 세포주에서 세포 성장 억제 효과 보고.
  • 항산화 및 면역조절
    • 땅빈대 추출물이 활성산소(ROS) 억제 → 세포 손상 감소
    • 면역세포 활성 강화 → 암세포에 대한 면역반응 촉진
  • 실험 동물 모델
    • 종양 이식 생쥐 모델에서 종양 크기 억제, 염증 반응 완화 효과 관찰

 

3.땅빈대, 비단풀 적용 및 한계

  • 응용 가능성:
    • 한방에서는 종양 억제·해열·해독을 위한 보조요법으로 사용
    • 암 환자의 **체력 보강, 항암 치료 부작용 완화(열감, 구강염증, 종창)**에 응용 사례 있음
  • 한계:
    • 현재까지 임상시험은 매우 제한적, 대부분 세포·동물실험 단계
    • 단독 항암제 역할보다는 보조적 치료 개념에 가까움
    • 과량 복용 시 위장 장애, 저체온 증상 유발 가능

 

📌땅빈대,비단풀 정리

  • 땅빈대(비단풀, 백미)는 항암·항종양 효과가 전통 기록과 현대 연구에서 모두 언급됨.
  • 성분상으로 사포닌·플라보노이드 → 세포사멸 유도 + 면역 강화 + 항산화 작용이 관찰됨.
  • 다만, 임상적 근거는 부족하여 실제 항암 치료제로 사용되기보다는 한방 보조요법 차원에서 가능성이 연구 중.

 

👉땅빈대,비단풀 논문 인용 출처 함께 내용추출

 

땅빈대(비단풀, 학명 Cynanchum atratum)의 “항암” 관련으로 실제 연구(주로 성분/추출물 수준)의 근거를 핵심만 뽑아 정리함. 결론부터 말하면: 세포·동물실험 단계의 유망성은 보이지만, 인간 대상 임상 근거는 아직 없습니다.

핵심 결론

  • 비단풀 뿌리에서 분리되는 C21 pregnane(스테로이드) 배당체들이 간암(HepG2), 자궁경부암(HeLa), 신경교종(U251), 백혈병(K562) 등 여러 암세포에 세포독성·세포사(apoptosis) 유도를 보였다는 시험관(in vitro) 결과들이 있습니다. MDPIScienceDirect+1
  • 특히 BW18이라는 비단풀 유래 C21 배당체가 백혈병 K562 세포에서 S기 정지·MAPK 경로 매개 세포사를 유도했습니다. (세포·기전 연구) PubMedScienceDirectResearchGate
  • 간암 HepG2 세포에서 비단풀 뿌리 C-21 스테로이드G0/G1 정지·미토콘드리아 경로 세포사를 유발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시험관 연구) ScienceDirect
  • 종설(review) 들은 비단풀(중약명 백미, Baiwei)의 항염·면역조절·항종양 가능성을 정리하지만, 임상 적용을 위한 근거/안전성 자료는 부족하다고 명시합니다. PubMed+1

 

땅빈대, 비단풀 항암 관련 “원문 일부”와 내용 추출

 

“Cynanchum atratum… compounds and extracts have been proven to exhibit… anti-tumor… activities.” (2025 J Integr Med 종설) PubMed

요지: 비단풀과 근연종의 성분에서 항종양 활성이 반복 보고됨(주로 전 임상).

 

“Zhang studied the anti-cancer activity of 26 pregnane glycosides… against HepG2, HeLa, U251.” (2018 Molecules 종설) MDPI

요지: 비단풀 계열 pregnane 배당체 다수가 3종 암세포에 IC₅₀ < 100 μM의 세포독성.

 

BW18, a C-21 steroidal glycoside… inducing S-phase arrest and apoptosis via MAPK in K562 cells.” (2019 Biomed Pharmacother) PubMedScienceDirect

요지: 비단풀에서 분리한 BW18이 백혈병 세포 증식 억제·세포사 유도, MAPK 기전 제시(시험관).

 

“C-21 steroids… induce apoptosis via mitochondria-mediated pathway and cell-cycle arrest in HepG2 cells.” (2017 Steroids) ScienceDirect

요지: 간암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경로·세포주기 정지 관여.

 

“Pharmacological studies showed that Baiwei has anti-tumor… activities.” (2019 Molecules 원문 내 서술) MDPI

요지: 전 임상 수준에서 항종양, 면역조절 등 다수 약리활성 보고.

각 인용은 저작권 제한상 25 단어 이내의 짧은 발췌입니다.

 

 

땅빈대, 비단풀 연구 디자인/모델 요약

  • 세포주(in vitro): HepG2(간암), HeLa(자궁경부암), U251(신경교종), K562(백혈병) 등에서 증식억제(IC₅₀ 보고), 세포주기 정지(G0/G1, S), caspase 활성화, Bax/Bcl-2 변화 확인. MDPIScienceDirectPubMed
  • 동물(in vivo) 직접 항암: 비단풀 직접 항암 효능 in vivo 근거는 현재 문헌에서 뚜렷하지 않습니다(간 손상·지방간 등 다른 효능의 동물모델 연구는 있음). MDPIPMC
  • 임상시험: 암 환자 대상 임상 근거 없음(2022/2025 종설들도 추가 연구 필요 지적). PubMed+1

 

땅빈대,비단풀 제시된 기전

  • MAPK 경로를 통한 세포사 유도(BW18, K562). PubMed
  • 미토콘드리아 매개 세포사, 세포주기 정지(HepG2). ScienceDirect

 

땅빈대,비단풀 안전성/한계

종설들은 품질표준·독성 정보 부족임상 근거 미흡을 명확히 언급합니다. 실제 복용이나 보조요법으로 권하기엔 근거 수준이 낮고, 약물상호작용/독성 정보가 불충분합니다. 항암 치료는 반드시 주치의와 상의하세요. PubMed

 

땅빈대,비단풀 원문/출처

  1. Xie W. et al., 2025. J Integr Med: “Baiwei(비단풀) 최신 종설(항종양 포함)”. PubMed
  2. Zhang Y. et al., 2022. J Ethnopharmacol: 비단풀의 민족약리·약리활성 종합 리뷰. PubMed
  3. Han L. et al., 2018. Molecules (무료 전체): Cynanchum 속 리뷰 — 26개 pregnane 배당체의 HepG2/HeLa/U251 세포 독성 데이터 요약. MDPI
  4. Yang J. et al., 2019. Biomed Pharmacother: BW18(K562) S기 정지·MAPK 매개 apoptosis. PubMedScienceDirect
  5. (Steroids, 2017) 비단풀 뿌리 C-21 스테로이드의 HepG2 apoptosis/세포주기 정지 보고(초록 확인). ScienceDirect
  6. (Molecules, 2019) 비단풀 성분의 면역조절/항종양 서술(간손상 모델 논문 서두). MDPI

 

땅빈대,비단풀 중요 요약 

비단풀은 시험관 수준에서 항암 활성이 반복 관찰되지만, 사람 대상 임상 근거는 없습니다

즉, 현재는 잠재성은 있으나 임상적 ‘항암약’으로 단정할 수 없다는 게 과학적 정리입니다.

 

 

 

땅빈대(비단풀, 백미, Cynanchum atratum)와 관련된 옛날이야기·전설·민속 기록.

 

땅빈대(비단풀, 백미)와 관련된 옛 기록·이야기

1. 땅빈대, 비단풀 동의보감 속의 이야기적 맥락

동의보감에서는 백미(白薇, 땅빈대)를

 

옹종(癰腫, 종기)과 루력(瘰癧, 임파선 종창)을 치료한다”라고 했습니다.

옛사람들은 종기나 부스럼이 심해 목이 붓거나 젖이 돌지 않을 때 백미 달인 약을 썼는데, 민간에서는 이를 “하늘이 내린 여인의 풀”이라 불렀습니다.

즉, 산후 여성과 아이를 살려주는 풀이라는 이미지가 전해져 집집마다 구해놓던 ‘안심약초’로 전해지곤 했습니다.

 

2. 땅빈대, 비단풀 본초강목(本草綱目) 속 백미 이야기

 

이제마(李時珍)의 『본초강목』에는

“백미는 열을 내리고, 여자의 젖을 잘 돌게 한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중국 민간에서는 젖이 돌지 않는 산모에게 백미를 달여 마시게 하였고, 아이 젖을 먹일 수 없던 상황을 구한 사례들이 전해지면서 “젖 풀(乳草)”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3. 땅빈대, 비단풀한국 민간 설화·속명

 

시골에서는 땅빈대를 “토 빈대”, “비단풀”이라고 불렀습니다.

옛날에는 산골에서 종기가 크게 나면 잘 낫지 않아 목숨이 위험했는데, 어떤 노승(老僧)이 지나가며 “산기슭에 하얀 꽃이 피는 비단풀을 달여 마셔라”라고 일러주어 그 집 아이가 살아났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래서 “살 풀(살리는 풀)”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 적이 있었습니다.

또, 풀을 뜯으면 줄기 속에서 하얀 젖 같은 즙이 나오는데, 이를 보고 아이 젖과 연결 지어 “젖 풀” 또는 “젖나무풀”이라 불렸다는 구전도 있습니다.

 

4. 별칭 ‘백미(白薇)’의 고전적 이미지

 

고대 중국 시문(詩文) 속에서는 백미(白薇)가 청절하고 곧은 기상을 상징하기도 했습니다.
시경(詩經)·소아(小雅)에는 “白薇之生, 凡民所止”라는 구절이 있는데, 여기서 백미는 억세게 자라나 백성의 삶터에 흔히 보이는 풀로 묘사됩니다.
중국 고대에서는 병을 고치고, 굳센 생명력을 가진 풀로서 문인들이 절개와 청렴을 비유할 때 쓰기도 했습니다.

 

5. 땅빈대, 비단풀 한국 민간요법 속 이야기

 

“아이 열이 높아 헛소리를 하면, 마당 풀밭에서 비단풀을 캐다가 달여 먹이면 열이 내린다.”

“여인이 해산 후 젖이 돌지 않아 아이가 울면, 백미뿌리를 달여 마시게 하면 젖이 잘 돌았다.”

이런 전승 덕분에 땅빈대는 시골에서 부인병과 어린이 열병을 구해주는 약초로 기억되었습니다.

 

이상으로 한국의 여름부터 가을까지 착박한 땅바닥에 밟히면서 딱 붙어 자라는 약용식물 땅빈대 또는 비단풀에 대한 약용식물로서의 정보를 알아봤습니다. 

 

 

 

 

#약용식물

 

 

 

밤꽃 피는 계절에 풍기는 독특한 향기.

예쁜 여름꽃 봄꽃이 예쁘다고 하지만 풍성한 여름꽃을 만나고 들여다보면 봄꽃보다 종류도 많고 예쁜꽃도 많습니다. 화려하고 풍성하고 수많은 여름꽃들은 셀 수없을정도로 많고 또 아름답습

omnislog.com

 

 

측백나무 열매(柏子仁)

기억력 증진과 탈모 예방에 좋은 측백나무 열매 (柏子仁)  자연이 선물한 다양한 약용 식물 중에서도 흔히 보는 측백나무 열매는 예로부터 귀한 한약재로 쓰여 왔습니다. 측백나무 열매는 柏子

omnislog.com

 

 

 

물레나물,금사도(金絲桃)Hypericum ascyron

늦여름 야생화 칡꽃,갈화(葛花) 늦여름 피는 야생화 칡꽃(갈화葛花)과 칡 늦여름 또는 초가을 산행을 할 때 바람 타고 오는 은은하고 상큼한 향기를 느끼면서 숲길을 걷다 보면 근처에 칡덩굴이

omnislog.com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