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건강식품-먹거리 OBD 2025. 7. 17. 17:47
여름 산행 때 그늘진 계곡 부근이나 나무아래에 피어오른 하얀색 또는 분홍색의 원추형 꽃대를 올린 노루오줌을 보곤 합니다. 노루오줌은 오랜 세월 한국 산지에서 자라온 자연이 준 약초이자 예쁜 여생화 들꽃입니다. 약용뿐 아니라 조경용으로도 각광받고 있으며, 우리 전통의학 속에서도 그 효능이 인정되어 전해져 내려오는 소중한 식물입니다. 노루오줌의 개요,원산지,분포지역,꽃말,용도,생물분류,약용성분 효능, 동의보감언급 내용, 동의보감원문까지 찾아서 공부하는 자세로 기록합니다. 노루오줌(Heuchera spp.) : 산의 정취를 담은 약용 야생화노루오줌은 아름다운 잎사귀와 작은 꽃이 조화를 이루는 산야의 자생식물로, 관상용은 물론 예로부터 약용 식물로도 활용되어 왔습니다. 특유의 은은한 향기와 꽃의 생김새에서 '노..
건강정보/자생약초-건강정보 OBD 2025. 7. 17. 10:31
물레나물: 꽃말, 효능, 동의보감 속 약용 정보물레나물(학명: Hypericum ascyron)은 여름이면 노란 꽃을 피우는 다년생 야생화로, ‘금사도(金絲桃)’라는 이름으로 동의보감에도 기록된 전통 약용 식물입니다. 오늘은 물레나물의 생태, 효능, 전통 한의학적 가치를 살펴보겠습니다.밝은 꽃과 함께 깊은 약성을 지닌 물레나물은 조경 식물로도, 민간요법에서도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식물입니다. 야생에서 만나는것은 주로 여름 산행때나 야생화 찍는 분들일 것입니다.물레나물,금사도(金絲桃)기본 개요학명: Hypericum ascyron한자명: 金絲桃 (금사도)분류: 물레나물과 (Hypericaceae)생육형: 다년생 초본식물 물레나물,금사도(金絲桃) 원산지와 분포지역물레나물은 한국 전역하며, 중국 동북부, 일본,..
사진-영상-카메라/식물-꽃-약초 OBD 2024. 8. 29. 13:26
도깨비가지 Horse Nettle , Solanum carolinense L도깨비가지 다른 이름: Horse Nettle, Solanum carolinense 한 여름부터 늦은 여름까지 산 길이나 공터에 보면 꽃이 상당히 예쁘고 노란 수술이 튀어나온 풀꽃을 보게 됩니다. 얼핏 보면 까마중꽃과도 비슷하지만 자세히 보면 확연히 다릅니다.풀꽃 치고는 상당히 예쁘고 옅은 보라색이나 하얀색 꽃이 핍니다.잎의 뒤면의 줄기를 따라서 가시가 나 있습니다.이 식물은 외래종으로서 생태계교란 생물입니다.생태계 균형을 교란하는 외래유입종으로서 강둑이나 공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식물의 키 높이는 50-100cm이고 별모양털과 날카로운 가시가 있습니다. 도깨비가지는 한국의 토종 생태계를 교란하는 강력한 외래식물입니다..
사진-영상-카메라/화훼정보-사진 OBD 2024. 7. 3. 14:15
한국의 야생화 계요등(鷄尿藤) Paederia foetida을 알아봅니다. 꽃은 예쁜데 악취를 풍기는 한국 야생화 계뇨등(鷄尿藤).계요등(鷄尿藤)은 영문으로 Paederia scandens로 쓰는데 이명으로 계각등, 우피동, 파동, 계뇨등, 구렁내덩굴등이 있습니다. 계요등(Paederia foetida)은 학명 Paederia foetida로서 꽃에서 향기가 나는 것이 아닌 악취가 특징인데, 악취 냄새가 닭의 오줌과 비슷한 냄새가 난다고 해서 '계뇨등'이란 이름이 붙었답니다. 한국에서는 볕이 잘 드는 산기슭이나 해안 지역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으며 건조한 환경과 해풍에 강한 야생 식물입니다. 계요등(鷄尿藤)은 꼭두서니과의 잎 지는 덩굴나무이며 , 아시아 온대와 열대 전역에 분포하는 식물입니다. 계요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