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현역병과 한국 현역병
- 국방-군사
- 2025. 2. 7. 09:56
독일의 인구와 국토면적 대비 병력수
독일의 현역병 숫자를 보면 그 나라의 인구와 국토면적 대비 너무 적은 현역병력을 보유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트럼프가 나토 국가들의 방위비를 크게 올릴 것을 요구하며 여러 방법으로 압력을 가하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충분하다고 봅니다.
독일의 인구
2024년 4월 기준으로 독일의 인구는 약 8,460만 명입니다. 독일은 유럽에서 러시아, 터키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국가이며, 유럽연합 회원국 중에서는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독일의 인구는 1950년 5,100만 명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00년에는 8,2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하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는 출산율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인구 증가세가 둔화되었고, 최근에는 소폭의 감소세를 보이기도 하지만 여전히 인구 대국입니다.
독일의 국토 면적
독일의 국토면적은 약 357,022 제곱킬로미터 (km²)입니다.
유럽에서 7번째로 큰 나라입니다.
우리나라 남북한을 합친 한반도 전체 면적의 약 1.6배입니다.
독일연방군
독일은 2011년 7월 1일부터 징병제를 폐지하고 모병제로 전환했습니다. 징병제 폐지 이전에는 현역 복무 기간이 9개월이었으며, 징집된 병사들은 독일 연방방위군에서 복무했습니다. 2010년 기준 독일의 총병력은 약 25만 명이었으며, 이 중 5만 5천 명이 징집병이었습니다.
징병제 폐지 이후 독일은 모병제를 통해 직업 군인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독일 연방방위군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약 18만 5천 명의 병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독일의 징병제 폐지는 유럽 국가들의 군대 규모 축소 추세와 맥을 같이 하며, 21세기 안보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해석됩니다. 징병제 폐지 이후 독일은 모병제를 통해 전문성을 갖춘 군인을 양성하고 있으며, 나토(NATO) 회원국으로서 유럽 안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독일 연방군 현역병과 대한민국 국군의 현역병 수
2023년 기준 독일의 인구 약 8,460만 명
독일 연방군 현역병 : 2023년 기준 약 18만 5천 명
모병제 현역 복무 기간이 9개월
한국의 인구는 2020년 약 5,184만 명
대한민국 국군 2023년 기준 약 46만 8천 명.
징병제 육군 18개월, 해군 20개월, 공군 22개월,
모병제 해병대 18개월
위의 병력 비교를 보면 독일군의 병력수로 본 군사력이 얼마나 부실 한지 알 수있습니다.
또 인구 대비 국토면적 대비 병사 숫자가 얼마나 적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통일 독일은 큰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병력 수가 이렇게 적게 유지한 것이 놀랍습니다.
복무기간 9개월인 병사의 기계화 부대 숙련도와 복무기간 18개월인 한국군 기계화 부대 숙련도는 하늘과 땅차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만약 독일 탱크와 한국 탱크가 도그파이팅 한다면 모르긴 해도 독일 탱크가 조준 하려 할 때 한국군은 몇 발을 발사했다고 봐도 무방 할 것입니다. 그렇다고 독일군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며, 군대 갔다 온 분이면 다 알겠지만 교육기간, 훈련기간 합해서 숙련기간 9개월 VS 18개월의 무기 다루는 수준 차이를 감히 비교할 수 있습니까? 말입니다.
독일 현역병과 한국 현역병
독일의 인구와 국토면적 대비 병력수 독일의 현역병 숫자를 보면 그 나라의 인구와 국토면적 대비 너무 적은 현역병력을 보유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트럼프가 나토 국가들의 방위비를 크게 올
omnislog.com
#독일 군 한국 군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