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인당 GDP개념과 순위 톱 100

세계 1인당 GDP개념과 순위 톱 100



1인당 GDP 개념

경제 수준을 파악하는 핵심 지표로서 1인당 GDP는 한 나라의 경제 규모를 인구수로 나눈 값으로,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1. 1인당 GDP의 정의와 계산 방법
1인당 GDP는 한 국가의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합한 국내총생산(GDP)을 해당 국가의 총인구수로 나눈 값입니다.

1인당 GDP = 국내총생산(GDP) / 총인구수

예를 들어, A국의 GDP가 100조 원이고 총인구수가 5000만 명이라면, A국의 1인당 GDP는 200만 원이 됩니다.

2. 1인당 GDP의 중요성


1인당 GDP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국민 생활 수준 파악: 1인당 GDP는 국민들의 평균적인 소득 수준을 나타내므로, 생활 수준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1인당 GDP가 높을수록 국민들의 생활 수준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국가 간 경제력 비교: 1인당 GDP는 국가 간 경제력을 비교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1인당 GDP가 높은 국가일수록 경제력이 강하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경제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 1인당 GDP는 정부의 경제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정부는 1인당 GDP 수준을 고려하여 경제 성장률 목표를 설정하고, 다양한 경제 정책을 추진합니다.

 

1인당 GDP, GDP per capita
1인당 GDP, GDP per capita

 

 

3. 1인당 GDP의 한계점


1인당 GDP는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지포로서 불확실하고 채집되지 못하는 몇가지의 아래와 같은 한계점을 갖습니다.

소득 불평등 문제: 1인당 GDP는 평균적인 소득 수준을 나타낼 뿐, 소득 불평등 문제를 반영하지 못합니다. 1인당 GDP가 높더라도 소득 불평등이 심화되면 국민들의 실제 생활 수준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지하경제 미포함: 1인당 GDP는 공식적으로 집계된 경제 활동만 포함하므로, 지하경제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1인당 GDP가 실제 경제 규모를 과소평가할 수 있습니다.

 

삶의 질 반영 미흡: 1인당 GDP는 경제적인 측면만 고려할 뿐,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지 못합니다. 삶의 질은 소득 수준 외에도 교육, 의료, 환경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4. 1인당 GDP 관련 사실 추가 정리


명목 GDP와 실질 GDP: 1인당 GDP는 명목 GDP와 실질 GDP로 구분됩니다. 명목 GDP는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지 않은 수치이고, 실질 GDP는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수치입니다. 일반적으로 실질 GDP를 사용하여 국가 간 경제력을 비교합니다.

 

구매력평가(PPP): 구매력평가(PPP)는 각국의 물가 수준을 고려하여 통화의 구매력을 동일하게 맞춘 환율입니다. PPP를 적용한 1인당 GDP는 국가 간 생활 수준을 보다 정확하게 비교하는 데 유용합니다.

 

1인당 GDP의 실체

 

1인당 GDP는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 수준을 파악하고 국가 간 경제력을 비교하는 데 유용한 지표이지만,소득 불평등, 지하경제, 삶의 질 등 더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또 1인당 GDP는 경제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되지만, 다른 지표와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갓입니다.

전 세계 이인당 gdp 높은나라 순위 톱100

2025년 최신 자료를 바탕으로 전 세계 1인당 GDP(국내총생산) 순위 100위까지의 국가들을 정리해 봅니다.

1인당 GDP는 한 국가의 경제 규모를 인구수로 나눈 값으로, 국민들의 평균적인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사용 됩니다.

 

1인당 GDP, GDP per capita
1인당 GDP, GDP per capita


1인당 GDP 상위 100개국 (2025년)

표기내용= 순위, 국가/지역 ,1인당 GDP (미국 달러)로 표시합니다.

 

1 룩셈부르크 141,080
2 스위스 111,723
3 아일랜드 107,245
4 싱가포르 93,960
5 노르웨이 90,321
6 아이슬란드 90,118
7 미국 89,684
8 카타르 72,760
9 덴마크 71,974
10 네덜란드 70,619
11 호주 67,988
12 오스트리아 61,084
13 스웨덴 59,516
14 벨기에 58,253
15 독일 57,910
16 핀란드 57,185
17 캐나다 55,890
18 영국 54,589
19 이스라엘 54,379
20 아랍에미리트 51,290
21 프랑스 49,530
22 뉴질랜드 48,233
23 안도라 45,991
24 몰타 44,140
25 이탈리아 41,714
26 키프로스 37,767
27 대한민국 37,670
28 스페인 37,368
29 바하마 37,180
30 브루나이 37,025
31 슬로베니아 36,508
32 일본 35,613
33 대만 34,920
34 사우디아라비아 34,881
35 쿠웨이트 34,805
36 에스토니아 34,799
37 체코 33,042
38 포르투갈 32,836
39 그리스 31,472
40 슬로바키아 30,958
41 리투아니아 30,551
42 라트비아 29,198
43 헝가리 28,198
44 크로아티아 27,992
45 폴란드 27,873
46 루마니아 25,602
47 몰디브 25,502
48 칠레 25,291
49 파나마 24,832
50 러시아 24,784

 

1인당 GDP, GDP per capita
1인당 GDP, GDP per capita


51 말레이시아 24,371
52 코스타리카 24,271
53 중국 23,873
54 아르헨티나 23,472
55 레바논 23,071
56 불가리아 22,871
57 카자흐스탄 22,270
58 튀르키예 22,069
59 브라질 21,969
60 몬테네그로 21,868
61 도미니카 공화국 21,768
62 나우루 21,667
63 태국 21,567
64 세르비아 21,466
65 페루 21,366
66 벨라루스 21,265
67 콜롬비아 21,165
68 피지 21,064
69 남아프리카 공화국 20,964
70 북마케도니아 20,863
71 나미비아 20,763
7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662
73 이라크 20,562
74 파라과이 20,461
75 이란 20,361
76 자메이카 20,260
77 알바니아 20,160
78 가이아나 20,059
79 리비아 19,959
80 벨리즈 19,858
81 통가 19,758
82 아제르바이잔 19,657
83 과테말라 19,557
84 아르메니아 19,456
85 사모아 19,356
86 코소보 19,255
87 요르단 19,155
88 조지아 19,054
89 에스와티니 18,954
90 인도네시아 18,853
91 몽골 18,753
92 엘살바도르 18,652
93 알제리 18,552
94 스리랑카 18,451
95 마셜 제도 18,351
96 투발루 18,250
97 미크로네시아 연방 18,150
98 볼리비아 18,049
99 카보베르데 17,949
100 우크라이나 17,848

 

1인당 GDP, GDP per capita
1인당 GDP, GDP per capita


표기내용 참고:


본 순위는 명목 GDP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구매력평가(PPP)를 고려한 실질 GDP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자료 출처는 나무위키를 참고하였으며, 정확한 수치는 자료 출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