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쿼드(S-QUAD) 알아 보기

스쿼드(S-QUAD) 알아 보기



스쿼드(S-QUAD) 개요

의미와 기원:
스쿼드(S-QUAD)는 미국, 일본, 호주, 필리핀 4개국 안보 협의체로, 쿼드(QUAD)에 필리핀이 참여하여 2024년 공식 출범하였습니다.
시작은 쿼드(QUAD)이며 미국, 일본, 호주, 인도가 참여하는 안보 협의체로, 2007년 처음 제안되었고 2017년 공식 출범하였습니다.
이후 S-QUAD는 쿼드의 확장된 개념으로, 필리핀의 참여를 통해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고 지역 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스쿼드(S-QUAD) 알파벳 의미 

스쿼드(S-QUAD)는 미국, 일본, 호주, 필리핀 4개국 안보 협의체로, 쿼드(QUAD)에 필리핀이 참여하여 2024년 공식 출범한 자유세계의 비공식 안보체계입니다.

 


S:

Southern: 남쪽을 의미하며, 남중국해를 포함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안보 협력을 강조하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Strategic: 전략적인 협력을 통해 역내 안보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Shared: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고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QUAD:
Quadrangle: 4각형을 의미하며, 미국, 일본, 호주, 인도의 4개국이 참여하는 쿼드(QUAD)를 계승하는 협의체임을 나타냅니다.

QUAD에 S자를 붙여 S-QUAD로 되었고 쿼드의 확장된 개념으로, 필리핀의 참여를 통해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고 지역 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게 된 것입니다.

 

스쿼드 S-QUAD maritime training
스쿼드 S-QUAD maritime training


S-QUAD의 주요 목표:

중국 견제: 남중국해를 포함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해상 활동 증가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고, 규칙 기반 국제 질서를 유지하고자 합니다.
안보 협력 강화: 4개국 간 해군 합동 훈련, 정보 공유, 사이버 안보 협력 등을 통해 역내 안보 협력을 강화합니다.
경제 협력: 경제, 기술, 인프라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하여 역내 경제적 번영을 도모합니다.
S-QUAD가 되면서 쿼드(QUAD)의 기존 협력 체계를 바탕으로 중국의 직접적 피해를 받는 필리핀의 참여를 통해 더욱 강력한 안보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자 한 것입니다.

 

 

 

S-QUAD의 주요 목표:

대 중국 견제: 남중국해를 포함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해상 활동 증가에 대한 우려에 대응하고, 규칙 기반 국제 질서를 유지하고자 합니다.
안보 협력 강화: 4개국 간 해군 합동 훈련, 정보 공유, 사이버 안보 협력 등을 통해 역내 안보 협력을 강화합니다.
경제 협력: 경제, 기술, 인프라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하여 역내 경제적 번영을 도모합니다.
현재 활동 사항:

해상 훈련: 남중국해 등에서 정기적인 해상 합동 훈련을 실시하여 역내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고위급 회담: 4개국 국방장관 회담 등을 통해 안보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정책 공조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다자 협력: 쿼드와 S-QUAD는 아세안(ASEAN) 등 다른 지역 협력체와 연계하여 협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국 참여 논의: 필리핀은 한국에 S-QUAD 가입을 제안하며 협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미국, 일본과 3자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있지만, 남중국해 해상 합동 훈련에는 참여하지 않고 있습니다.

 

 

 

S-QUAD의 향후 전망:

지속적인 협력 강화: 4개국은 S-QUAD를 통해 안보 및 경제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과의 관계: S-QUAD의 활동은 중국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 방안 모색이 필요합니다.
한국의 역할: 한국의 S-QUAD 참여 여부는 역내 안보 구도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스쿼드(S-QUAD) 훈련 전력 규모

스쿼드(S-QUAD) 훈련의 최대 전력 규모에 대한 공식적인 정보는 현재까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2024년 공식 출범한 S-QUAD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구체적인 훈련 계획이나 규모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입니다.

 

 


일반적 안보 협의체의 훈련 규모 요소.

훈련 목표: 훈련의 목적에 따라 동원되는 전력의 종류와 규모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상륙 작전 훈련에는 항공모함, 상륙함, 전투기, 헬리콥터, 해병대 등 다양한 전력이 동원될 수 있습니다.
참가국: 참가국의 수와 각국의 전력 지원 규모에 따라 전체 훈련 규모가 결정됩니다.
예산: 훈련에 투입되는 전력과 기간에 따라 예산이 달라지며, 이는 훈련 규모를 제한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정치적 고려 사항: 훈련 규모는 참가국 간의 정치적 관계, 주변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습니다.

 

스쿼드 S-QUAD maritime training
스쿼드 S-QUAD maritime training

 

 

S-QUAD의  훈련 규모 요인들.

중국 견제: S-QUAD의 주요 목표 중 하나가 중국 견제인 만큼, 중국의 해상 활동에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의 전력이 동원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상 훈련: S-QUAD는 해상 안보 협력을 강조하고 있으며, 주로 해군력을 중심으로 한 훈련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참가국: 미국, 일본, 호주, 필리핀 4개국이 참여하며, 각국의 해군력 지원 규모에 따라 훈련 규모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향후 S-QUAD의 훈련 규모 전망.

점진적 확대: 초기에는 소규모 연합 훈련을 통해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점차 훈련 규모를 확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양한 훈련: 해상 훈련 외에도 사이버 안보 훈련, 대테러 훈련 등 다양한 분야의 훈련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한국 참여: 한국이 S-QUAD에 참여할 경우, 훈련 규모는 더욱 확대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S-QUAD 훈련의 최대 전력 규모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다양한 요인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향후 S-QUAD의 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지속적으로 주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쿼드(S-QUAD) 의장국?

2024년 공식 출범한 스쿼드(S-QUAD)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의장국에 대한 공식적인 정보는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안보 협의체는 회원국 간의 합의에 따라 의장국을 선정하고 운영합니다. 의장국은 협의체 회의를 주재하고, 주요 의제를 결정하며, 협력 사업을 추진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스쿼드의 경우, 미국, 일본, 호주, 필리핀 4개국이 참여하고 있으며, 각국의 역할과 협력 관계를 고려하여 의장국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S-QUAD 참가국들의 주요 해군 전력

미국: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 잠수함 등 다양한 함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전력을 훈련에 투입할 수 있습니다.
일본: 구축함, 호위함, 잠수함 등을 주력으로 하며, 해상 자위대의 전력을 활용하여 훈련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호주: 구축함, 호위함, 상륙함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군력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필리핀: 비교적 소규모의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경비함, 초계함 등을 중심으로 훈련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S-QUAD 훈련 참여 전력 전망

해상 훈련: S-QUAD는 해상 안보 협력을 강조하고 있으며, 주로 구축함, 호위함 등 해군력을 중심으로 한 훈련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양한 함정: 훈련 목표에 따라 항공모함, 상륙함, 잠수함 등 다양한 함정이 동원될 수 있습니다.

 

한국 참여: 한국이 S-QUAD에 참여할 경우, 한국 해군의 전력이 훈련에 추가될 수 있습니다.

S-QUAD의 참고 자료:
필리핀 "미일·호주 등 4개국 '스쿼드'에 한국 가입시키려 시도":

http://www.youtube.com/watch?v=FBEeP0ynx_w
中 견제 강화 필리핀 "한국에 '스쿼드' 가입 제안":

 

S-QUAD에 대한 필자 주:

S-QUAD는 아직 초기 단계의 협의체이며, 향후 발전 방향은 유동적입니다.
S-QUAD의 활동은 역내 안보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관련 동향을 지속적으로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