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유적-역사인문전반 OBD 2023. 7. 30. 08:43
하버드에서 동상의 구두를 만지는 이유 사람 마음은 동양이나 서양이나 다 같은가 봅니다. 사진의 동상이 신은 신발 색갈이 다른 이유가 그것을 말해 줍니다. 이 동상의 구두색갈이 처음부터 다른것은 아닙니다. 많은 사람들이 너무나 많이 만저서 반질반질해진 것입니다. 우리나라 사찰에 가면 포대화상이 절입구 가까이에 있는데 사람들이 이 화상의 불룩한 배를 만 저서 반질반질한 것이다 별로 다를 게 없는 것입니다. 아래 동상은 하버드대햑교의 교정에 있는 존 하버드입니다. 하버드 대학교를 설립한 사람이지요. 염원이라고 해야 할진 모르지만 세계적으로 너무나 유명한 명문 하버드에 내 자식이 가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사람의 발을 만지는 것입니다. 사진 한 장 찍으려고 해도 발 만지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짬을 내서 샤..
국제-이슈-뉴스 OBD 2015. 10. 28. 17:57
미국 대학교수의 평균 급여 대학교수는 어떤 나라든지 그 나라의 지식인 소득 수준의 기준으로 봅니다. 대학교수의 연봉으로 그 나라에서 최고의 지식인들이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의 레벨로 살 수 있는가 와 함께 대학의 경영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학생들의 배움의 질과 대학이 외부에 대처하는 경쟁력에도 관계되는 중요한 지표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대학교수의 급여에 대한 이슈가 종종 등장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Tenure professors(평생교수 혹은 정년 보장 교수라고 번역하지만 실제로 우리나라의 정년 보장 교수와는 많이 다른 개념이며 훨씬 좋은 보장을 주는 제도입니다.) 에 대한 자격도 논란으로 등장 하기도 하지만 너무나 중요한 부분으로서 이슈만 되지 결론 나진 못하며 최근에는 Tenure p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