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유적-역사인문전반/역사-고전 OBD 2023. 7. 20. 18:01
김해 죽도왜성 (金海 竹島倭城)부산광역시 기념물 김해 죽도왜성 (金海 竹島倭城) 개요김해 죽도 왜성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에 위치한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축조한 왜성입니다. 성은 가락산의 동쪽 끝에 위치하며, 낙동강의 지류인 죽림천과 접해 있다. 성의 둘레는 약 1km이며, 높이는 약 5m이다. 성곽은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축조되었으며, 성벽에는 총 안과 포구가 설치되어 있다.김해 죽도 왜성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전진기지 역할을 했습니다. 일본군은 이 왜성을 통해 낙동강을 장악하고, 조선의 수도 한양을 공격했다.김해 죽도 왜성은 임진왜란 당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성곽 곳곳에 전쟁의 흔적이 남아 있다.김해 죽도 왜성은 1964년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김해시에서..
여행-유적-역사인문전반/역사-고전 OBD 2023. 7. 20. 11:30
서생포왜성(西生浦倭城), 죽성리 왜성(機張竹城里倭城) 서생포왜성(西生浦倭城) 울산 울주군 서생면 서생리 711 일원 (052) 229-3730 서생포 왜성:임진왜란 초인 1592년(선조 25년) 7월부터 1593년(선조 26년)에 걸쳐 일본장수 가또오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축조했으며, 죽도왜성과 부산왜성, 울산왜성과 봉화로 서로 연락하였다해서 봉화성(烽火城)이라고도 부른다. 이 왜성은 비록 일본이 축성했으나 후에 조선에서도 사용했던 성으로, 남문 일부의 훼손을 제외한 다른 곳은 옛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16세기말의 일본 성곽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일본식 평산성이다. 본성과 지성으로 구분되어 구획되어 있다. 성벽은 외성(外城)의 경우 바깥쪽에만 돌로 쌓는 내탁식(..